사례로 알아보는 코트에서의 방해 영향을 미쳤는지의 여부'와 '한 선수에게 두 번의 (판정)기회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대부분의 방해 사례는 이 두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판정을 내리면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방해가 일정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사례로 일어나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 심판이라도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경기가 심판없이 진행되는 (match without officials) 동호인 경기에서 방해에 대한 판정은 그리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방해의 판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첫 서브든 세컨 서브든 상관없이 랠리 중에 방해를 받아 레트가 선언되었다면 무조건 첫 서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레트를 선언했다. 이 때 첫 서브인가? 세컨 서브인가? 서브 동작에 들어간 후 레트가 선언되었다면 첫 서브부터 다시 시작한다. 서브 동작이란 서브를 넣기 위해 준비한 후 토스하는 순간을 말한다. 서브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를 선언해 레트가 되었다. 이 때 첫 서브인가? 세컨 서브인가? 낫 레디는 서비스에서의 네트(볼이 네트를 맞고 서비스 박스안에 떨어진 것)와 같은 것을 간주해 해당 서비스만 다시 실시한다. 단, 서브를 넣기 전에 리시버가 낫 레디를 선언하면 방해 동작이 아니다. "때려봐!"라고 소리를 쳤다. 이 때 A가 볼을 치지 않고 D로부터 방해를 받았다고 주장한다면? 당하게 된다. 떨어졌다면? 방해가 성립되지 않는다. E의 실점이다. 이는 실내코트의 천장도 마찬가지다. 성립되는가? 코트 안의 방해 물체에 대해서는 인플레이 도중에 코트 안으로 들어왔다면 레트, 인플레이 전에 코트 안에 있었다면 유효, 볼이 코트 안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닿았다면 레트가 판정된다. "풋 폴트"를 콜했다면 방해가 성립되는가? 실제로 G가 풋 폴트를 했다고 해도 풋 폴트 콜은 임팩트 이후에 해야 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라인 엄파이어의 방해가 성립된다.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1 슬라이스서브 전략 (0) | 2019.01.04 |
---|---|
1/22-2 테니스 엘보 예방 (0) | 2019.01.04 |
1/21-2 서브게임을 지키는 방법 (0) | 2019.01.04 |
1/21-1 복식은 네트 플레이다. (0) | 2019.01.04 |
1/20-2 오른손 주도형 양손백핸드/폴로우 스루-라켓에서 왼손을 떼는 동작 (0) | 201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