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9월 5일 목요일
[(녹) 연중 제22주간 목요일]
복음
<그들은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1-11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1-11
1 예수님께서 겐네사렛 호숫가에 서 계시고, 군중은 그분께 몰려들어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있을 때였다.
2 그분께서는 호숫가에 대어 놓은 배 두 척을 보셨다.
어부들은 거기에서 내려 그물을 씻고 있었다.
3 예수님께서는 그 두 배 가운데 시몬의 배에 오르시어 그에게 뭍에서 조금 저어 나가 달라고 부탁하신 다음, 그 배에 앉으시어 군중을 가르치셨다.
4 예수님께서 말씀을 마치시고 나서 시몬에게 이르셨다.
“깊은 데로 저어 나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아라.”
5 시몬이 “스승님, 저희가 밤새도록 애썼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내리겠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6 그렇게 하자 그들은 그물이 찢어질 만큼 매우 많은 물고기를 잡게 되었다.
7 그래서 다른 배에 있는 동료들에게 손짓하여 와서 도와 달라고 하였다.
동료들이 와서 고기를 두 배에 가득 채우니 배가 가라앉을 지경이 되었다.
8 시몬 베드로가 그것을 보고 예수님의 무릎 앞에 엎드려 말하였다.
“주님, 저에게서 떠나 주십시오. 저는 죄 많은 사람입니다.”
9 사실 베드로도, 그와 함께 있던 이들도 모두 자기들이 잡은 그 많은 고기를 보고 몹시 놀랐던 것이다.
10 시몬의 동업자인 제베대오의 두 아들 야고보와 요한도 그러하였다.
예수님께서 시몬에게 이르셨다.
“두려워하지 마라.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다.”
11 그들은 배를 저어다 뭍에 대어 놓은 다음,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오늘의 묵상
나의 말이 심겨질 땅을 먼저 찾아라
금실이 아주 좋은 노부부가 있었습니다.
몹시 가난했던 젊은 시절 그들의 식사는 늘 한조각의 빵을 나누어 먹는 것이었습니다.
그 모든 어려움을 사랑과 이해로 극복한 뒤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자
그들은 결혼 50주년에 금혼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축하를 받으며 부부는 무척 행복했습니다.
손님들이 돌아간 뒤 부부는 늦은 저녁을 먹기 위해 식탁에 마주 앉았습니다.
하루 종일 손님을 맞이하느라 지쳐있었으므로 그들은 간단하게 구운 빵 한 조각에 잼을 발라
나누어 먹기로 했습니다.“빵 한 조각을 앞에 두고 마주앉으니 가난했던 시절이 생각나는 구려.”할아버지의 말에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이며 지난날의 기억을 떠올리는 듯
할아버지의 말에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이며 지난날의 기억을 떠올리는 듯
잔잔한 미소를 지어 보였습니다.
할아버지는 지난 50년 동안 늘 그래왔듯이 할머니에게 노릇노릇하고 고소한 빵의 껍질을 잘라 내밀었습니다.그런데 바로 그 때, 할머니가 갑자기 얼굴을 붉히며 몹시 화를 내며 말했습니다.
“역시 당신은 오늘 같은 날에도 부드러운 빵 속은 당신이 먹고
내게는 딱딱한 빵 껍질을 주는군요.
50년을 함께 살아오는 동안 난 날마다 당신이 내미는 빵 껍질을 먹어 왔어요.
그동안 당신에게 늘 그것이 불만이었지만 섭섭한 마음을 애써 참아왔는데.
하지만 오늘같이 특별한 날에도 당신이 이럴 줄은 몰랐어요.
당신은 내 기분이 어떨지 조금도 헤아릴 줄 모르는군요.”할머니는 마침내 서러운 눈물을 흘리고 말았습니다.
할머니의 갑작스러운 태도에 할아버지는 몹시 놀란 듯 한동안 머뭇거리며 어쩔 줄 몰라 했습니다.
할머니가 울음을 그친 뒤에야 할아버지는 더듬더듬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휴우! 난, 부인을 위한 마음밖에는 없었는데.
당신이 진작 이야기해 주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난 몰랐소.
하지만 여보, 바삭바삭한 빵 껍질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었소!”할아버지는 50년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할머니에게 드렸고,
할머니도 가장 좋아하던 부분을 할아버지에게 드렸던 것입니다. 서로 기분을 참아가면서.내가 옳고 원하는 것이고 상대가 당연히 좋아할 것 같은 말이라고 해서 그 말이 상대에게 심겨지는 것이 아닙니다. 마치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땅을 고르듯이 자신의 말이 떨어져 열매가 맺힐 수 있는 땅이 있는지 잘 찾아봐야 합니다.
예수님은 이런 일을 참 잘 하시는 분이셨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몰려드는 사람들과 조금 떨어지기 위해
방금 고기를 잡고 돌아온 배에 오르셨습니다.
그 배에 앉아 가르치실 때에 그 배의 주인들은 예수님의 친구가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떤 사람들은 조금 떨어지게 만들고
배의 주인들과는 하나가 되는 것을 택하신 것입니다.
아마 그물을 한 번 다시 쳐보라는 예수님의 말에
“스승님, 저희가 밤새도록 애썼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내리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었던 이유도
예수님께 받은 영광에 대한 보답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신 말이 떨어질 공간을 스스로 만드신 것입니다.
자아는 쉽게 죽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 틈은 누군가로부터 영광을 받을 때 생깁니다.
예수님은 그 틈을 노린 것입니다.
그리고 그 작은 순종으로 많은 물고기가 잡히자 베드로는 깜짝 놀라고 두려운 마음까지 듭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베드로를 완전히 낚아채신 것입니다.
그리고 발을 씻어주시며 또한 베드로의 마음을 넓히시고 결국 당신 말이라면
목숨까지 내어놓을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사람을 점령하시는 방법은 처음엔 영광을 주고 그 다음엔 작은 순종을 통해
그 틈을 더 벌리는 것이었습니다.
갑자기 엄청난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십니다.
우리 자아의 공간은 조금씩 점령당합니다.
사람의 변화를 지켜볼 때는 농사꾼과 같아야합니다.
잘 자라지 않는다고 손으로 곡식을 당겨서는 안 됩니다.
자라는 것은 저절로 자라도록 내버려두어야 합니다.
다 자연의 순리가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일반대학 친구들에게도 “다 아는 것처럼 말하지 마!”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딸아이가 중학생인데도 미국 사립학교에 엄청난 돈을 들여가며 보내겠다는 것입니다.
거의 부부가 버는 돈을 다 딸아이를 위해 투자해야 하는 형편입니다.
저라면 그러지 않겠다고 말했더니 그렇게 말한 것입니다.
씨를 뿌릴 땅이 없는데도 마구 씨를 뿌리는 농부는 없습니다.
일단 뿌려져서 잘 자랄 땅을 찾습니다.
말을 할 때도 마찬가지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맞는 말을 한다고 상대가 다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우선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을 상대가 지닐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그 가장 좋은 방법은 오늘 예수님께서 하신 것처럼 상대를 영광스럽게 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은 공감해주고, 인정해주고, 받아주고, 높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내가 뿌릴 말씀의 씨앗이 심길 공간이 마련됩니다.
잔잔한 미소를 지어 보였습니다.
할아버지는 지난 50년 동안 늘 그래왔듯이 할머니에게 노릇노릇하고 고소한 빵의 껍질을 잘라 내밀었습니다.그런데 바로 그 때, 할머니가 갑자기 얼굴을 붉히며 몹시 화를 내며 말했습니다.
“역시 당신은 오늘 같은 날에도 부드러운 빵 속은 당신이 먹고
내게는 딱딱한 빵 껍질을 주는군요.
50년을 함께 살아오는 동안 난 날마다 당신이 내미는 빵 껍질을 먹어 왔어요.
그동안 당신에게 늘 그것이 불만이었지만 섭섭한 마음을 애써 참아왔는데.
하지만 오늘같이 특별한 날에도 당신이 이럴 줄은 몰랐어요.
당신은 내 기분이 어떨지 조금도 헤아릴 줄 모르는군요.”할머니는 마침내 서러운 눈물을 흘리고 말았습니다.
할머니의 갑작스러운 태도에 할아버지는 몹시 놀란 듯 한동안 머뭇거리며 어쩔 줄 몰라 했습니다.
할머니가 울음을 그친 뒤에야 할아버지는 더듬더듬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휴우! 난, 부인을 위한 마음밖에는 없었는데.
당신이 진작 이야기해 주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난 몰랐소.
하지만 여보, 바삭바삭한 빵 껍질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었소!”할아버지는 50년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할머니에게 드렸고,
할머니도 가장 좋아하던 부분을 할아버지에게 드렸던 것입니다. 서로 기분을 참아가면서.내가 옳고 원하는 것이고 상대가 당연히 좋아할 것 같은 말이라고 해서 그 말이 상대에게 심겨지는 것이 아닙니다. 마치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땅을 고르듯이 자신의 말이 떨어져 열매가 맺힐 수 있는 땅이 있는지 잘 찾아봐야 합니다.
예수님은 이런 일을 참 잘 하시는 분이셨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몰려드는 사람들과 조금 떨어지기 위해
방금 고기를 잡고 돌아온 배에 오르셨습니다.
그 배에 앉아 가르치실 때에 그 배의 주인들은 예수님의 친구가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떤 사람들은 조금 떨어지게 만들고
배의 주인들과는 하나가 되는 것을 택하신 것입니다.
아마 그물을 한 번 다시 쳐보라는 예수님의 말에
“스승님, 저희가 밤새도록 애썼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내리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었던 이유도
예수님께 받은 영광에 대한 보답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신 말이 떨어질 공간을 스스로 만드신 것입니다.
자아는 쉽게 죽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 틈은 누군가로부터 영광을 받을 때 생깁니다.
예수님은 그 틈을 노린 것입니다.
그리고 그 작은 순종으로 많은 물고기가 잡히자 베드로는 깜짝 놀라고 두려운 마음까지 듭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베드로를 완전히 낚아채신 것입니다.
그리고 발을 씻어주시며 또한 베드로의 마음을 넓히시고 결국 당신 말이라면
목숨까지 내어놓을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사람을 점령하시는 방법은 처음엔 영광을 주고 그 다음엔 작은 순종을 통해
그 틈을 더 벌리는 것이었습니다.
갑자기 엄청난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십니다.
우리 자아의 공간은 조금씩 점령당합니다.
사람의 변화를 지켜볼 때는 농사꾼과 같아야합니다.
잘 자라지 않는다고 손으로 곡식을 당겨서는 안 됩니다.
자라는 것은 저절로 자라도록 내버려두어야 합니다.
다 자연의 순리가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일반대학 친구들에게도 “다 아는 것처럼 말하지 마!”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딸아이가 중학생인데도 미국 사립학교에 엄청난 돈을 들여가며 보내겠다는 것입니다.
거의 부부가 버는 돈을 다 딸아이를 위해 투자해야 하는 형편입니다.
저라면 그러지 않겠다고 말했더니 그렇게 말한 것입니다.
씨를 뿌릴 땅이 없는데도 마구 씨를 뿌리는 농부는 없습니다.
일단 뿌려져서 잘 자랄 땅을 찾습니다.
말을 할 때도 마찬가지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맞는 말을 한다고 상대가 다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우선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을 상대가 지닐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그 가장 좋은 방법은 오늘 예수님께서 하신 것처럼 상대를 영광스럽게 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은 공감해주고, 인정해주고, 받아주고, 높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내가 뿌릴 말씀의 씨앗이 심길 공간이 마련됩니다.
할머니는 마침내 서러운 눈물을 흘리고 말았습니다.
할머니의 갑작스러운 태도에 할아버지는 몹시 놀란 듯 한동안 머뭇거리며 어쩔 줄 몰라 했습니다.
할머니가 울음을 그친 뒤에야 할아버지는 더듬더듬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휴우! 난, 부인을 위한 마음밖에는 없었는데.
당신이 진작 이야기해 주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난 몰랐소.
하지만 여보, 바삭바삭한 빵 껍질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었소!”할아버지는 50년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할머니에게 드렸고,
할머니도 가장 좋아하던 부분을 할아버지에게 드렸던 것입니다. 서로 기분을 참아가면서.내가 옳고 원하는 것이고 상대가 당연히 좋아할 것 같은 말이라고 해서 그 말이 상대에게 심겨지는 것이 아닙니다. 마치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땅을 고르듯이 자신의 말이 떨어져 열매가 맺힐 수 있는 땅이 있는지 잘 찾아봐야 합니다.
할아버지는 50년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할머니에게 드렸고,
할머니도 가장 좋아하던 부분을 할아버지에게 드렸던 것입니다. 서로 기분을 참아가면서.내가 옳고 원하는 것이고 상대가 당연히 좋아할 것 같은 말이라고 해서 그 말이 상대에게 심겨지는 것이 아닙니다. 마치 농부가 씨를 뿌릴 때 땅을 고르듯이 자신의 말이 떨어져 열매가 맺힐 수 있는 땅이 있는지 잘 찾아봐야 합니다.
예수님은 이런 일을 참 잘 하시는 분이셨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몰려드는 사람들과 조금 떨어지기 위해
방금 고기를 잡고 돌아온 배에 오르셨습니다.
그 배에 앉아 가르치실 때에 그 배의 주인들은 예수님의 친구가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떤 사람들은 조금 떨어지게 만들고
배의 주인들과는 하나가 되는 것을 택하신 것입니다.
아마 그물을 한 번 다시 쳐보라는 예수님의 말에
“스승님, 저희가 밤새도록 애썼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내리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었던 이유도
예수님께 받은 영광에 대한 보답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신 말이 떨어질 공간을 스스로 만드신 것입니다.
자아는 쉽게 죽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 틈은 누군가로부터 영광을 받을 때 생깁니다.
예수님은 그 틈을 노린 것입니다.
그리고 그 작은 순종으로 많은 물고기가 잡히자 베드로는 깜짝 놀라고 두려운 마음까지 듭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베드로를 완전히 낚아채신 것입니다.
그리고 발을 씻어주시며 또한 베드로의 마음을 넓히시고 결국 당신 말이라면
목숨까지 내어놓을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사람을 점령하시는 방법은 처음엔 영광을 주고 그 다음엔 작은 순종을 통해
그 틈을 더 벌리는 것이었습니다.
갑자기 엄청난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십니다.
우리 자아의 공간은 조금씩 점령당합니다.
사람의 변화를 지켜볼 때는 농사꾼과 같아야합니다.
잘 자라지 않는다고 손으로 곡식을 당겨서는 안 됩니다.
자라는 것은 저절로 자라도록 내버려두어야 합니다.
다 자연의 순리가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일반대학 친구들에게도 “다 아는 것처럼 말하지 마!”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딸아이가 중학생인데도 미국 사립학교에 엄청난 돈을 들여가며 보내겠다는 것입니다.
거의 부부가 버는 돈을 다 딸아이를 위해 투자해야 하는 형편입니다.
저라면 그러지 않겠다고 말했더니 그렇게 말한 것입니다.
씨를 뿌릴 땅이 없는데도 마구 씨를 뿌리는 농부는 없습니다.
일단 뿌려져서 잘 자랄 땅을 찾습니다.
말을 할 때도 마찬가지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맞는 말을 한다고 상대가 다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우선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을 상대가 지닐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합니다.
그 가장 좋은 방법은 오늘 예수님께서 하신 것처럼 상대를 영광스럽게 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은 공감해주고, 인정해주고, 받아주고, 높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내가 뿌릴 말씀의 씨앗이 심길 공간이 마련됩니다.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허리건강에 좋은 운동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허리건강에 좋은 운동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허리건강에 좋은 운동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허리건강에 좋은 운동
'오늘의 복음과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8/30 복음과 묵상 (0) | 2019.05.06 |
---|---|
8/29 복음과 묵상 (0) | 2019.05.06 |
9/4 복음과 묵상 (0) | 2019.05.06 |
9/3 복음과 묵상 (0) | 2019.05.06 |
9/2 복음과 묵상 (0) | 2019.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