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시대 '장수 비결' 일상에서 찾는다
노년기에는 사소한 증상도 가볍게 넘기지 않아야 한다. 대수롭지 않게 넘긴 부분이 어려운 치료 과정으로 이어지고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일상에서 노화된 몸을 바르게 이해하고 돌보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여러 상업적 제안과 설들에 판단이 흐려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관리법을 잘 따르도록 하자.
식사는 하루 3번 정해진 시간에 연령에 맞는 영양 권장량을 따른다. 가령 50~64세 남성은 하루에 약 2400kcal가 권장되고, 살코기·계란·생선과 같은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칼슘 등을 신경 써서 먹어야 한다.
화학적 식품 첨가물을 줄일 수 있도록 인스턴트식품이나 자극적인 외식을 줄이고, 조리방법에 유의하도록 한다. 빠른 걸음은 약간 숨이 찰 정도로 걷는 것을 말한다.
평소에는 아침, 점심, 저녁, 자기 전 4번 정도 휴대폰 알람을 설정해 가볍게 팔다리 펴기, 눈 주변 마사지하기 등이 권장된다. 맨손 스트레칭은 시간과 장소를 크게 구애받지 않는 운동 방법이므로 다른 활동 중 수시로 해준다.
항상 예방적인 관점에서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집 근처 병원에서 자신의 주치의를 만들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에 건강 이상을 진단받고 의학적 처치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질병은 조기에 발견되면 완치가 가능하므로 40세 이후에는 규칙적인 건강검진을 받도록 한다. 자신의 건강은 스스로 점검하고 챙겨야 한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성인에서의 예방접종은 소아에 비해 항체 생성력이 떨어지지만, 사망 예방력과 같은 접종 파급력은 오히려 높다.
전문의에게 필요한 예방접종에 대한 상담을 받고 특히 독감, 폐렴, 파상풍, 대상포진 등은 꼭 챙기도록 한다. 이 같은 예방 접종이 큰 질병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 성공을 위해 달린 젊은 시절과는 다른 차원의 꿈과 이상을 실현해나갈 수 있다. 혼자 보내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활동도 하도록 한다.
취미 활동을 사회적 의미와 결합해 다른 사람을 돕거나 경제 활동으로 연결시켜보는 것도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에 의하면 노화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평범한 일상 속에서 작은 실천들을 습관화해 건강을 지켜나가야 한다.
출처- 코메디닷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4-2 12/3 동 0 다리·거북목, 척추·관절질환 유발 '체형' (0) | 2018.11.27 |
---|---|
12/4-1 12/2 동 구강의 중요성 (0) | 2018.11.27 |
12/2-2 동 오래 먹는 약이 몸속 영양소 빼내… 효과적 보충법은? (0) | 2018.11.26 |
12/2-1 11/28 동 자다가 '컥' 소리내며 숨을 안 쉰다? 이때 받아봐야 할 검사 (0) | 2018.11.25 |
12/8-2 12/1 동 힘들어야 '진짜 운동'… 말 못할 만큼 숨차야 효과 (0) | 2018.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