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은 골다공증과 반비례?…
완전히 뒤집는 연구결과 발표
중증 무릎관절염 환자 10명 중 4명 ‘골다공증’ 동반

무릎 관절염이 심하면 골다공증 위험도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두 질환이 역(逆)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됐다.
무릎 관절염 환자는 골다공증이 없다는 것이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일수록 골밀도가 높아 골다공증 위험도는 낮지만,
체중이 관절에는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는 완전히 반대다.
사실 그간의 연구결과는 단순히 골관절염의 유무와 골다공증의 연관성을 살펴봤다는
문제가 있었다.
골관절염의 중증도를 고려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의미다.
무릎 관절염의 중증도와 골밀도의 연관성을 살펴본 이번 대규모 연구는
한국의 일반 인구를 대표하는 결과로서 임상적으로 큰 의미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박주현·의정부성모병원 김여형(재활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포함된 50세 이상 5793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골밀도 검사 및
무릎 X-ray를 분석했다.
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염과 골다공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무릎 관절염 환자의 골밀도는 기존 연구들처럼 정상인에 비해 높았으나,
무릎 관절염의 중증도가 올라갈수록 골밀도는 오히려 떨어졌다.
특히 중증 무릎 관절염 환자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으며, 골다공증 유병율은 39.5%로
매우 높았다.
무릎 관절염은 골관절염 중 가장 흔한 부위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을 이루는
뼈, 인대 등이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으로 불리기도
한다.
골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달리 전신 증상이 없고, 관절을 사용할수록 통증이
심해진다.
과체중으로 관절과 연골에 과도한 부담이 있을 때 잘 생기므로, 체중이 많이 실리는
관절인 무릎에 잘 발생하는 것이다.
골다공증은 골밀도가 줄어들고 뼈의 미세 구조가 나빠지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이 생기면 단단하던 뼈가 푸석푸석하게 변해서 약간의 충격만 받아도 쉽게
골절이 생길 수 있다.
골다공증이 매우 심할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다가도 뼈가 부러질 수 있다.
특히 여성은 폐경 후 여성호르몬 결여로 골밀도 감소가 가속화 된다.
그래서 무릎 통증으로 병원에 왔다가 골다공증을 동반한 무릎 관절염으로 진단 받는
여성 환자가 많다.
서울성모병원 재활의학과 박주현 교수는 “심한 무릎 관절염이 있는 환자는 골다공증
동반가능성이 높으므로 골다공증의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슬관절 전치환술을
할 정도의 중증 무릎 관절염 환자는 수술 전·후 재활 시 골다공증 가능성을 고려한
재활치료와 낙상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정부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김여형 교수는 “체중을 실어서 하는 운동은 뼈의 골밀도를
유지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무릎 관절염이 있으면 통증으로 운동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의 조절과 두 질환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재활
운동의 선택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정형외과 및 류마티스 영역에서 권위 있는 학술지 ‘골관절염 및
연골조직(Osteoarthritis And Cartilage)’ 정식게재에 앞서 인터넷에 먼저 소개됐다.
'보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 "암과 등산" (0) | 2019.05.09 |
---|---|
천, 칫솔, 잘못 보관하면 세균 '득실'…올바른 관리법 (0) | 2019.05.09 |
천, 한국 천주교회 대수천 회원들 (0) | 2019.05.09 |
천, 5G (0) | 2019.05.09 |
천, 삼성 이건희 회장의 편지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