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 나면 얼굴 숙이고 양 콧볼 세게 누르세요
휴지로 막거나 풀면 점막 손상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코피가 나서 여러 응급처치를 해도 코피가 멈추지 않아 응급실에 오는 환자를 자주 본다.
코피가 날 때 응급처치 정석은 다음과 같다.
피가 코 뒤로 넘어가지 않게 목을 약간 앞쪽(음식 냄새 맡듯)으로 숙인다.
이 상태에서 양 콧볼을 동시에 잡아 세게 누르며 코를 막아 출혈 부위를 10~15분 압박
하면 대부분 출혈이 멎는다.
이때 휴지나 솜으로 코를 세게 틀어막거나 하는 것은 점막을 더 손상시킬 수 있어 조심
해야 한다.
코피가 멈춘 후에는 건조한 환경을 피하고, 코 안쪽 상처에 점막 재생을 돕는 연고를
코피가 멈춘 후에는 건조한 환경을 피하고, 코 안쪽 상처에 점막 재생을 돕는 연고를
바르면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코피가 자꾸 반복되면 이비인후과에 방문해 출혈 지점을 찾아 지혈하는 것이 좋다.
코피가 앞으로 흐르지 않고 목 뒤로 계속 넘어가는 경우에는 코 앞쪽 부위(비중격)에서
출혈이 생긴 것이 아니라 코 뒤쪽 부위가 손상된 것일 수 있다.
이때는 집에서 지혈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코 뒤쪽에 출혈은 의외로 출혈량이 많을 수 있다.
평소에 아스피린이나 와파린 같이 혈액응고를 막는 약을 복용하는 환자는 지혈이 잘
안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코 점막 자극에 주의해야 한다.
병원에서는 출혈을 멈추기 위해 거즈나 충전제 등을 코 속에 집어 넣어 응급처치를 하며,
출혈이 멎으면 출혈 부위를 확인해 적절한 조치를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7-2 1/10 동 자다가 '컥' 수면무호흡증… 통풍 위험까지 높여 (0) | 2019.01.08 |
---|---|
1/17-1 1/10 동 노화·암·만성염증 유발하는 몸속 '활성산소' 제거법 (0) | 2019.01.07 |
1/16-1 1/9 동 발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5 / 코메디닷컴 (0) | 2019.01.06 |
1/15-2 1/8 동 손 저릴 때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 (0) | 2019.01.06 |
1/15-1 1/8 동 걸을 때 무릎 굽히지 않으면 충격 흡수 안 돼… 연골판 손상 위험 (0) | 2019.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