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

동테 떨고 있나요? '체온' 높이는 의외의 방법

메옹 2020. 1. 11. 14:35

떨고 있나요? '체온' 높이는 의외의 방법



열 공장 근육 늘려야


추워하는 여성
사진설명=체온을 높이려면 근육을 늘리고 과식을 피하는 게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저 기온 영하권의 날씨가 지속되면서 추위에 고생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를 대비해 사람들은 손난로를 챙기거나, 목도리·모자를 활용하거나, 옷을 여러 겹 입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

지만 이 밖에도 체온을 상승시키는 의외의 방법들이 있다.


▷ 근육 키우기=근육은 우리 몸에서 '열을 만드는 공장'이다.

체열의 40% 이상이 근육에서 만들어진다.

사람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근육이 수축·이완을 반복하며 열을 낸다.

또 근육이 부족하면 혈액이 몸 구석구석 퍼져나가지 못해 체온 조절이 잘 안 된다.


심장에서 만들어진 따뜻한 혈액은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야 한다.

이로 인해 근육이 감소한 노인이나 식단을 극단적으로 줄여 체중을 줄인 사람은 추위를 유독 잘 탄다.

전문가들은 노인도 근력을 키우면 겨울에도 체온 유지가 그리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


▷ 음식 씹는 횟수 늘리기=음식을 여러 번 씹어 먹으면 체온이 높아진다.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머리와 얼굴 전체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입에 음식을 넣었을 때 30회 정도 씹고, 이를 위해 식사 시간도 20~30분을 지키는 게 좋다.

음식 씹는 횟수를 자연스럽게 늘리기 위해 많이 씹어야 하는 음식을 자주 먹는 것도 방법이다.

아몬드 등 견과류나 우엉, 연근, 녹황색 채소가 이에 해당한다. ​


▷ 과식 피하기=추위를 이겨내려면 많이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많은 양의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위장으로 혈액과 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근육, 뇌, 등으로 가야 할 혈액이 줄면서 체온이 떨어진다.


추우면 가만히 있어도 몸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인 '기초대사량'이 약간 높아지는 게 사실이다(기온 10도 내려가면 3% 증가).

하지만 이를 위해 음식을 더 먹을 필요는 없다. 추운 날씨에 바깥 활동을 덜 해서 에너지 소모량이 주는 것이 상쇄된다. ​


▷ 단백질 식품 섭취=​음식을 먹으면 일정 비율이 열을 내는 데 쓰이는데, 단백질이 다른 성분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은 편이다.

지방은 섭취량의 3%, 탄수화물은 8%만 열을 내는 데 쓰이지만 단백질은 25%나 된다.


단백질은 그 자체가 열을 낼 뿐 아니라, 단백질을 먹어서 열을 만들어내는 근육이 늘어나는 것도 체온 유지에 기여한다.

단, 소고기·돼지고기 같은 적색 고기는 혈액을 끈적하게 만들어 겨울철 심근경색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닭고기·우유·치즈·생선 등으로 섭취하는 게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