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매시 에러방지법
얕은 스매시가 네트에 걸린다.
찬스볼인 얕은 로브를 스매시하였으나 네트에 걸려 버렸다.
이것도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그 원인은 왼쪽과 같이 발이 앞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타점이 앞이 되어버려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타점이 앞이 되어버릴 때는 크로스 방향으로 치는 것이 비결이다.
발이 나오지 않으면 타점이 앞
깊은 볼의 스매시는 움직이지 않으면 볼에 다가갈 수 없기 때문에 자연히 다리가 움직이지만 얕은 볼은 찬스볼이라는 안도감 때문에 오히려 다리가 늦어지게 되어 타점이 앞에 형성되어 네트에 걸리는 실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앞으로 나와 치는 것을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 발이 앞으로 나오지 않는다
얕은 스매시를 네트에 쳐박는 사람의 대부분은 발이 앞으로 나오지 않아 타점이 앞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실수는 스윙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많이 볼 수 있다.
라켓 헤드를 이용한 스윙은 타점이 앞이 될 때 아래로 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얕은 볼이 오면 일단 앞으로 나갔다가 그 다음에 내려가면서 치는 생각을 하자.
깊은 스매시가 떠버린다
깊은 로브에 대한 스매시는 상급자에게도 어려운 샷이기 때문에 어이없는 실수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항상 위로 떠버린다고 하는 사람은 약간의 기술적 수정으로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제대로 라켓 헤드를 돌릴 수 있게 되면 깊은 볼에 강해지기 때문에 반드시 연습해두자.
또 타점이 늦어질 우려가 있을 때에는 역크로스 방향을 겨냥하는 것이 좋다.
원인- 라켓 헤드의 전환을 할 수 없다
깊은 볼에 대해 타점이 늦어질 때에 팔꿈치나 손목을 사용하여 라켓헤드를 돌릴 수 없으면 위로 뜨는 볼을 치게 된다.
그것을 해결하는 비결을 알아보자
우선 팔을 안으로 돌릴 수 있는 스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팔꿈치를 그 자리에 고정하면 볼을 밀기 쉽다
깊은 볼을 잘 리턴하는 비결은 팔꿈치를 뒤에 남기고 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스윙의 반경이 작아지며 라켓 헤드를 돌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다소 타점이 늦어져도 볼을 누를 수 있다.
그러나 팔꿈치를 사용하지 않고 치면 라켓 헤드를 예리하게 돌릴 수 없기 때문에 위로 뜰 위험성이 높아진다.
스매시가 사이드아웃 되기 쉽다
원인- 크로스로 치는 경우가 많다
스매시가 사이드아웃 되는 원인을 한 마디로 설명하는 것은 어렵지만 크로스로 칠 때가 역크로스로 치는 경우보다 실수의 위험이 많다.
사이드아웃이 많은 사람은 스매시를 칠 때에 기억해두자.
크로스는 밖으로 흐르기 쉽다
크로스로 치는 스매시는 구질로 말해도 밖으로 흐르기 쉬우며 볼도 뜨기 쉬우므로 생각 이상으로
각도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사이드 아웃의 위험성이 높다).
역크로스로 보내는 경우는 밖으로 흐르기 어려우며 면이 안정되기 때문에 사이드 아웃의
실수는 적다.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 (전술) 테니스의 플레이 패턴 (0) | 2019.12.14 |
---|---|
(X) 테니스 백핸드의 정석 자세 (0) | 2019.12.14 |
테 (전술) 리턴 실수를 줄이면 승리가 보장! (0) | 2019.12.12 |
테 프로선수의 서브동작 분석 (0) | 2019.12.12 |
테 스매쉬는 항상 타점을 앞에 두어야--- (0) | 201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