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24일 금요일
[(백)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복음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3,13-19
그때에
14 그분께서는 열둘을 세우시고 그들을 사도라 이름하셨다.
그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며,
16 이렇게 예수님께서 열둘을 세우셨는데, 그들은 베드로라는 이름을 붙여 주신 시몬,
17 ‘천둥의 아들들’이라는 뜻으로 보아네르게스라는 이름을 붙여 주신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
‘접촉’의 관계에 ‘부르심과 응답’을 넣으면 ‘연결’의 관계로 바뀐다
인자한 눈빛을 지닌 한 원로 승려가 강연을 마치고 뉴욕 출신의 신문기자와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기자가 받아 적을 준비를 하며 질문을 시작했습니다.
“오늘 강연 중에 '접촉(contact)'과 '연결(connection)'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을 좀 더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승려는 미소를 지으며 기자의 질문과 상관없는 것을 물었습니다.
“고향이 어디인가?”
기자가 뉴욕이라고 대답하자 승려가 다시 물었습니다.
“고향 집에는 누가 있는가?”
기자는 승려가 대답을 회피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왜냐하면 지극히 개인적이고 불필요한 질문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못해 대답했습니다.
“어머니는 돌아가셨고, 아버지 혼자 계십니다. 형들과 누나는 모두 결혼했습니다.”
승려가 다시 미소 지으며 물었습니다.
“아버지와 종종 대화를 나누는가?”
기자는 눈에 띄게 불편해졌지만 승려는 아랑곳하지 않고 재차 물었습니다.
“아버지와 마지막으로 얘기를 나눈 게 언제인가?”
기자가 불쾌감을 억누르며 말했습니다.
“한 달 전쯤 됩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승려는 더 나아갔습니다.
“형들과 누나와도 자주 만나는가?
가장 최근에 온 가족이 모인 적이 언제인가?”
기자는 혼란스러워져서 이마에 땀이 맺히기 시작했습니다.
무더운 날씨 탓만이 아니었습니다.
누가 누구를 인터뷰하고 있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한숨을 내쉬며 기자가 말했습니다.
“2년 전 크리스마스 때 모였었습니다.”
“그때 며칠 동안이나 함께 있었는가?”
이마의 땀을 훔치며 기자가 말했습니다.
“2,3일 정도…”
승려의 질문이 그런 식으로 계속 이어졌습니다.
기자는 당황한 기색을 감추기 위해 수첩에 무엇인가 적는 시늉을 했습니다.
“아버지와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는가?
나란히 같이 앉아서 함께 아침, 점심, 저녁을 먹은 적이 언제인가?
아버지의 기분이 어떤지 물어본 적은?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어떻게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지?”
기자의 눈에 눈물이 고이기 시작했습니다.
승려가 기자의 손을 잡으며 말했습니다.
“내 질문이 본의 아니게 상처를 주었다면 미안하네.
하지만 이것이 그대가 질문한 ‘접촉’과 ‘연결’에 대한 답이라네.
그대는 아버지와 ‘접촉’해 왔으나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 듯하네.
연결은 존재와 존재 사이의 정신적 교감에서 일어나는 일이지.
함께 앉아서 얘기를 나누고, 밥을 먹고, 서로를 보살피는 것이지.
손을 잡고, 눈을 맞추고, 같이 시간을 보내는 것.
그대의 형제자매도 서로 접촉하고 있지만 연결은 사라져가고 있는 듯하네.”
기자는 눈물을 훔치며 말했습니다.
“잊지 못할 중요한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우리는 ‘연결’을 자랑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초고속 인터넷 망의 발달로 지구 반대편 사람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결되어 있다고 믿을 뿐 접촉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혹은 휴대폰으로 쉼 없이 문자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접촉을 연결로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입니다.
오래 서로를 바라보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는 문화 속에서 바로 앞에 있는 사람과 조차도
점점 더 멀어지는 것은 아닌지.
어느 블로그에서 인용한 것을 카톡으로 받은 내용입니다.
인간관계는 우리 모두가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사람의
가장 큰 고민거리이기도 합니다.
수많은 사람을 만나며 살지만 진정한 친구는 하나도 없다고 느끼며
외로워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는 접촉은 하지만 연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수많은 접촉의 관계가 깊은 연결의 관계로 바뀔 수 있을까요?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열두 사도를 뽑으시는 내용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먼저 산에 오르십니다.
그리고 당신께서 원하시는 이들을 부르십니다.
그들이 그 부르심에 응답하여 그분께 나아오자 그 열둘에게 ‘사도’라는 직책을 주십니다.
사도들은 마귀들을 쫓아내고 복음을 선포하는 직무를 받습니다.
이 소명은 그리스도께서 지상에서 하시던 소명과 같습니다.
예수님께서 지금까지 열두 명의 제자들을 데리고 다닐 때는
거의 접촉의 단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일 서로 같이 먹고 자며 살아가지만 깊은 친밀감을 느낄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불러주시고 그 부르심에 응답하면 사도들의 관계는 이제 연결이 됩니다.
그리스도의 부르심 때문에 단순한 접촉의 관계가 생명을 내어줄 수 있는
연결의 관계로 변하는 것입니다.
열두 사도 중에 가리옷 유다도 있었습니다.
그는 나머지 열한 사도와 연결 관계에 있지 못했습니다.
끝까지 접촉만 유지했던 것입니다.
그 이유는 그리스도의 부르심을 믿지 못했고 그분이 주시는 소명을 무시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은 모든 것의 주인이시지만 관계의 주인도 되십니다.
깊고 연결된 관계가 되기 위해서는 주님의 명확한 부르심을 믿어야하고
나도 확실하게 그 소명에 응답해야 합니다.
이제 설 명절입니다.
이번 설에도 오랜만에 가족끼리 접촉할 것입니다.
그냥 웃고 떠들며 먹고 마시면 그냥 허무한 접촉의 시간으로 끝나버릴 것입니다.
우리 가족 안에 주님을 모십시다.
주님께서 모이게 해 주셨고 그 부르심에 응답한 시간이라고 믿읍시다.
실제로 그렇습니다.
그러면 서로 각자의 위치로 돌아올 때도 외롭지 않을 것입니다.
접촉이 연결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자나 깨나 치과 주의보입니다.
치과는 사람을 보면 돈으로 보이나 봅니다.
치과는 과잉진료가 보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현직 치과 원장의 전달 사항입니다.
이런 걸 다 얘기해 주네요.
지인들에게 알려주시면 두고두고 고맙다는 말을 들을 것입니다.
"옥수수가 치통 치료제" (백만 불짜리 정보)
치아가 아프거나 잇몸에 피가 날 때...
치통(충치)가 아무리 심해도...
잇몸이나 치아가 아파도...
"옥수수 하나면 평생 치아 걱정 안 해도 된다고 합니다"
옥수수를 사다가 알맹이는 맛있게 드시고 옥수수 알이 채워져 있던 옥수수 속대는 칼로 여러 토막을 내서 주전자 같은데 넣고 물을 부은 다음 사골을 우려내듯 푹 삶습니다.
(삶는 동안 물이 부족하면 중간중간에 물을 보충해 가면서...)
그렇게 우려낸 물을 적당히 식혀서 마시지는 말고 입안에 머금고 있다가 뱉어버리기를 15회~20회 반복하면 (통증이 심할 때는 며칠간 반복)
평생 동안 두 번 다시 치통으로 고생하는 일이 없고 치과에 갈 일도 없다고 합니다.
옥수수 수염차를 끓여 먹으면 몸에 좋다는 이야기는 누구나 아는 상식입니다.
그런데 옥수수알만 먹고 그냥 버려지는 옥수수의 속대에 이가탄이나 인사돌 같은 치통,
치아염증약의 원료로 쓰이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합니다.
이토록 신효한 약효가 있다는 것을 치과 의사는 물론.. 한의사들도 모르는 비법이라고
하는군요.
이 민간요법이 널리 알려져서 국민 모두가 오복 중에 제일 큰 건강한 치아를 가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자연의 섭리가 대단하네요....
옥수수가 이와 같고, 옥수수 속이 이를 잡고 있는 잇몸과 같네요...
오묘합니다.
추신 1.칫솔은 늘 소금물에 담가놓고 사용
2.양치시 치약에 베이킹소다 묻혀 사용하시면 치태, 치석, 입냄새 끝
'오늘의 복음과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월 26일 주일 (0) | 2019.10.28 |
---|---|
2020년 1월 25일 토요일 (0) | 2019.10.28 |
2020년 1월 23일 목요일 (0) | 2019.10.27 |
2020년 1월 22일 수요일 (0) | 2019.10.27 |
2020년 1월 21일 화요일 (0) | 2019.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