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전술 >
(Situation 1 ) 첫 서브가 잘 들어가면--------
서버가 파트너에게 공격할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서브 앤 발리로 네트를 점령할 수 있다.
네트를 점령하면 승률이 높아진다.
첫 서브가 잘 들어갔을 때-------
서버의 전위가 흔들어 준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주의)
만약 다운더 라인이 네트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서버가 반대편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하는 위험부담도 있다.
이러한 전술은 파트너와 호흡이 잘 맞아야 하고 사전에 계획하고 충분히
소통이 되어야 한다.
동호인 게임에서 첫 서브 에이스는 한 세트에서 1~2 개 정도이다.
첫 서브 성공률이 적으면 세컨 서브에서 포인트를 잃는 경우가 더 많다.
70~80 % 의 힘으로 상대 박스 안에 넣는 것이 중요하다.
# 첫 서브가 잘 들어가면 많은 기회가 온다.
첫 서브가 잘 들어가게 되면 리시버의 에러를 유발 할 수 있다.
첫 서브에 대한 리턴 부담감은 누구나 가지고 있으므로 첫 서브는 반드시 넣도록 하자.
( Situation 2 ) 기회가 올 때까지 계속 연결하라.
서버가 서브 앤 발리를 하지 않는다면-----
리시버는 연결해주면서 네트로 들어가 기회를 만든다.
# To Keep a good position
상대방이 공을 보내려고 하는 길목을 차단하면 제일 좋다.
파트너와 같이 움직이면 상대방이 보내려고 하는 각을 좁히면서 좋은 위치를 잡아라.
전위는 네트와 서비스 라인의 중간 위치에서 자리를 지키면서 다운더 라인이나 센터를 커버한다.
후위는 서비스 라인 근처에서 센터나 사이드 앵글을 커버한다.
파트너보다 약간 뒤쪽에 자리를 잡는다.
이 상태에서 상대방의 깊고 높은 로브가 올라 오면 같이 뒤로 이동한다.
파트너가 앞으로 들어오면 뒤로 조금 물러나면서 다운더 라인이나 로브에 대비한다.
왼 쪽 대각선으로 조금 이동하면서 센터나 사이드 앵글 샷에 대비한다.
상대 전위에 걸리지 않게 계속 연결해 주어라.
우리편 전위는 흔들면서 포칭의 기회를 노려라.
(Situation 3 ) 서브 리턴은 이렇게 하라.
서브 리턴할 때 상대방 전위에게 걸리면 안된다.
크로스로 쳐야 한다.(다운더 라인이나 로브는 예외)
세컨 서브 리턴시에는 과감하게 치면서 네트로 들어가야 한다.
가급적이면 포핸드로 쳐라.
서브 리턴시 상대 전위를 피해 크로스로 리턴해야 한다.
내가 준비가 늦는지 ?
백스윙이 크지 않나 ? 등을 점검하라.
전위에게 걸리면 대부분 포인트를 잃게 된다.
급할 때는 로브로 대응하면서 전열을 가다듬는다.
" 서브 리턴은 상대방 전위를 피하라 "
" 급할 때는 로브로 대응하라 "
리시버는 세컨 서브를 포핸드로 강하게 치고 들어가라.
리시버는 세컨서브의 기회를 놓치지 마라.
강하게 리턴하면서 네트로 대시하라.
세컨 서브를 리턴할 때 강한 포핸드로 상대방 전위를 노려 보는 것도 좋다.
서버 측 포메이션이 호주 포메이션이다.
세컨 서브일 때는 서버 측 전위에게 강하게 쳐서 찬스를 만들어 보자.
서버 측이 호주 포메이션이면 포칭이나 서브 앤 발리를 할 것이다.
이럴 땐 리시버의 전위는 뒤로 물러나서 서버측의 포칭(발리)에 대비해야 한다.
여기서 당신은 어디로 칠 것인가 ?
당연히 크로스로 쳐야 할 것이다.
그런데 ............
" 세컨서브 리턴 실수하지 마라 "
세컨 서브 리턴시에는 공격적인 샷을 할 수 있는데 너무 몸에 힘이 들어가면 어이없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 Situation 4 ) 움직이면서 공의 길목을 지켜라.
단식은 좌우로 움직임이 많지만, 복식은 전후 및 대각선의 움직임이 많은 게임이다.
후위가 크로스로 랠리할 때 전위는 앞으로 전진, 상대편 후위가 크로스로 칠 때는 우리편 전위는 뒤로 한 두발 빠져주어야 한다.
또한 상대편 후위가 네트로 들어오면 우리편 전위는 서비스 라인까지 물러나야 한다.
"서버 측 전위의 움직임을 살펴보자. "
상대편 후위가 네트로 들어오면 서비스 라인까지 물러나 위치를 잡는다.
상대 후위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준다.
그러면 서비스라인 안에 떨어지는 공을 대처할 수 있다.
리시버측 후위가 크로스랠리 할 때 전위가 네트 앞으로 들어간다.
상대편 후위가 크로스로 쳐서 우리편 후위 쪽으로 넘어 갔다면 전위는 뒤로 한 두발 물러서서 상대의 포칭에 대비해야 한다.
자기 영역을 지키지 못하면 실점뿐만 아니라 사기도 저하될 수 있다.
랠리를 하면서 전위가 포칭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우리편이 친 공이 넘어가면 네트 앞으로 붙어주고 상대가 친 공이 넘어오면 물러나는 위치 선정을 잘 해야한다.
충분히 공격적인 스매시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후위는 네트로 전진해서 파트너와 평행진을 이루면 좋다.
( Situation 5 ) 상대의 약점을 이용해라.
상대방이 백핸드가 약하다면 그 약점을 공략하라.
(Situation 6 ) 파트너와 소통하자.
i 포메이션에서 전위가 왼쪽으로 이동하겠다고 사인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하면
전위는 왼쪽으로 후위는 오른 쪽으로 이동해서 위치를 잡고 기다리면 된다.
여기서 전위가 포칭을 한 후 다시 되돌아오면 안된다.
그러면 왼쪽 코트가 완전히 비어있는 일자 포지션이 된다.
파트너와 충분히 소통하면서 전술을 짜고 질책보다는 격려를 하라.
정말로 중요한 것은 도움을 주거나 격려를 하는 것이다.
파트너가 실수를 하더라도 절대 짜증을 내지 마라.
( Situation 7 ) 네트를 점령하라.
네트를 점령하면 상대방은 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
패싱 샷, 다운더 라인, 센터, 로브, 어떤 샷을 구사할까 ?
( Situation 8 ) 기 타 ........
어디로 칠 것인가 ?
한 명은 센터에 자리를 잡았고, 다른 한 명은 네트로 들어오고 있는 상황일 때....
센터에 있는 상대 머리위로 로브를 올리거나 들어 오고 있는 후위에게 줄 수 밖에 없다.
한번 더 후위에게 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
또는 크로스로 높게 올리는 로브도 괜찮다.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 슈퍼바이저(Supervisor) (0) | 2019.09.17 |
---|---|
(X)플랫/언더스핀백핸드리턴이미지스윙입니다 (0) | 2019.09.17 |
테, 테니스장의 예의로 본 고수와 하수의 차이 (0) | 2019.09.14 |
테, 혼합복식을 잘하려면 (0) | 2019.09.14 |
테, 레퍼리 (0) | 201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