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서도 내가 섬길 사랑
“오늘 나는 30년간 몸을 담았던 직장에 사표를 냈습니다.
사표를 낸 이유는 아내가 기억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아내가 나를 잃어가는 병인 치매에 걸린 것 같다며 남편은 새벽녘 댓바람부터 하얀 담배 연기를 뱉어놓고 있습니다.
“자식들이 알면 당장 요양병원에 데려다주려고 할 텐데... “
나고 자란 이곳에 일 년에 한 번 지 애미 아비 생일 때나 “통장으로 돈 보냈어요.“,
“바빠서 이번 명절엔 못 내려가요.”라는 서열없는 말들만 던져놓는 자식들 앞에 가진
것 없는 노인이 된 부부는 말을 잃은지 오래랍니다.
굵게 패인 주름길 따라 흰서리 머리에 이고 아내는 남편다리를 베고 지금 잠들어 있습니다.
침묵이 버린 말을 찾는 남편의 눈에 아내의 주름은 밥이 되고 희어진 머리는 남편의 술 한잔이 되었을까요?
“여보 긴 세월 내 곁에 있어 줘서 고마웠소.“
언제까지 이 손을 잡고 있을런지.
눈앞에서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소중함을 알게 되면서 남편은 아내의 부재가 줄 외로움을 먼저 알아버린 것 같습니다.
잠든 새벽녘 눈을 뜨니 아내의 자리가 비어 있습니다.
남편은 방마다 헤매다 마당에 있는 흔들의자에 이슬처럼 매달려 한숨을 뱉어놓고 있는 아내를 보았습니다.
조용히 다가선 남편의 눈에 아내의 눈물이 먼저 와 반기고 있습니다.
“내가 있잖아.. “
남편의 사랑이 저 달이 된 걸까요?
아내는 비친 눈물을 보이기 싫어 돌아누운 저 달만 올려다봅니다.
“처음 만나 저 달을 보면서 당신에게 맹세 했잖아. 죽는 날까지 당신곁을 지켜줄 거라고...“
“여보 아이들에겐 비밀로 해주세요. 그리고... ...... ...... 날 버리지 말아요.“
아내의 말이 남편의 폐부를 파고 들어옵니다.
오늘은 마치 정상적으로 새벽같이 일어나 아침상을 차려놓은 아내...
“여보 식사하세요.”
“어... 그.... 래요.”
낮달을 올려다본 것 같은 표정을 매달고선 남편은 밥상 앞에 앉았습니다.
멀찍이 앉아 텔레비젼을 보고 있는 아내...
하지만 남편 눈엔 텔레비젼이 아내를 보고 있습니다.
그때 울리는 전화...
“요즘 엄마는 왜 전화 안 받으세요.“
“밭과 들로 일한다고 바빠서 그렇지~“
입은 있지만 할 말이 없어서일까요?
낡은 관절이 삐거덕 거리는 대답들만 늘어놓고선 얼른 전화를 끊어 버립니다.
햇살 비치는 어느 봄날, 그래도 희망을 안은 채 하루를 보내던 아내가 이제는 소금과 설탕을 구분을 못합니다.
설거지 한 그릇을 냉장고에 넣어 두기도 하구요.
“누구세요.“
“누구긴 당신 남편이지..”
“아냐 우리 남편은 이리 늙지 않았어. 흰머리 난 영감이 아니란 말이야~~“
이제는 자신의 이름마저 기억하지 못하는 아내...
하지만 아내에게도 평생 잊을 수 없는 이름이 있나 봅니다.
“당신 남편 이름이 뭐야?”
“남상현!“
아내는 흘린 눈물길 따라 되돌아오는 법을 알아가는 걸까요?
남편은 "남상현"이란 이름에 그만 날개 없이 저 허공을 가르는 종이달처럼 울음부터 터트리고 말았습니다.
아내와 나를 이어주는 이음줄이 사랑이었다면 그 사랑을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은 아내의 한결같은 마음이었기에 치매가 아니라면 우리에게 눈부신 날이 계속될 텐데...
돌아누운 저 달이 말해서일까요....
허공을 이고 선 저 바람이 전해서 일까요......
병원에 데려가자며 찾아온 아이들 앞에서 아버지는 낮고 굵은 목소리로
“난 내가 선택한 삶을 지키며 살겠다. 그게 나에게 주어진 자유다.“라고...
아이들이 하나둘 떠나간 길 따라 등 굽은 달 옆에 힘빠진 별처럼 남편은 아내의 휠체어를 밀며 잠이 들고 잠이 깬 마지막 시간들을 보내고 있었고, 평생을 남편을 위해 헌신했던 아내는 마지막 시간을 지켜준 남편에게 ‘그동안 돌봐줘서 고마웠다고..’
남편의 마음을 느끼고 세상을 떠나고 있었습니다.
몽돌이 되기까지 아내가 보내어 준 숨결 따라 사랑할 때 알아야 하는 것들을 되뇌어 보면서 남편은 아내가 한 번이라도 나를 기억해 준다면 꼭 이 말 한마디는 해주고 싶었다 말합니다.
“죽어서도 내가 섬길 사랑이었다고...”
펴냄/노자규의 골목 이야기
'보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1-2 동 여름철 유독 '욱신'대는 관절… 어떻게 지킬까? (0) | 2019.06.20 |
---|---|
(X)6/20-1 동 참신한 생활지혜 (0) | 2019.06.19 |
천 쟈니 윤 (0) | 2019.06.17 |
천 6/19-2 동 요즘 얼마 안 걸었는데도 피곤하신가요? (0) | 2019.06.17 |
천 6/19-1 동 미국 의사협회에서 밝혀낸 백혈병과 암의 원인 (0)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