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발리의 실수를 줄일 방법 1. 스플릿 스텝이 늦다 그렇다면 유독 첫 발리에 실수가 많은 것은 왜 일까? 또 처음부터 서비스라인에서 발리를 하면 실수하지 않는 데 서브를 넣고 대시하면서 발리를 하면 왜 실수하게될까? 그 원인은 서브를 넣고 빨리 서비스라인 근처로 달려나가는 것에 신경을 빼앗겨 상대의 리턴을 잘 보지 못하는 데에 이유가 있다. 네트 앞으로 나가는것에 신경쓰거나 스텝이나 첫 발리에 대한 걱정이 많아 가장 중요한 볼에 집중할 수가 없는 것이다. 특히 스플릿 스텝의 타이밍이 늦는 사람은 이경우에 속한다.
상대가 치는 순간을 제대로 보지 않으면 예측도 늦어져 볼에 대한 반응이나 집중도 나빠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수가 많아진다.
스플릿 스텝은 어느 방향으로도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시 정지 동작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도 볼을 잘보기 위해 멈춘다는 생각을 가져보자. 먼저 자기 자신을 여유있는 상태로 만들어서 상대의 리턴에 집중한다. 그렇게 하면 처음부터 서비스라인에 서있을 때와 같은 감각으로 발리를 할 수 있다. 또 볼을 잘 보아야 한다는 의식이 높아지면 자연히 빠르게 멈출 수 있게 된다. 단순한 것이지만 생각을 바꾸면 큰 차이가 생긴다.
많다. 특히 여성이나 주니어 선수들은 "연결하는 발리는 자신 있지만 결정짓는 발리가 약하다." 고 하는 사람이 많다. 이 문제는 우선 "결정지을 수 없는 곳으로 볼을 치고 있기 때문에 결정이 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즉 플레이스먼트의 문제이다. 발리의 경우 스피드가 없어도 코스만 좋으면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발리는 강하게 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 연결발리 기다리기 위해 가능한 상대코트 깊숙이 치는 발리 ■ 결정발리 ■ 플레이스먼트(Placement) 우선 그 부분에 대한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 강하게 끊어치는 발리를 하지 못해도 대개 자신이 목표로 한 곳으로 치면 충분히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고 믿기를 바란다. 그 다음은 판단력의 문제다. 어디로 치면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미리 정해두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그것이 정리되면 무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실수도 적어질 것이다. 얕은 발리를 활용하자 얕은 발리라고 해도 드롭발리 정도로 짧게 칠 필요는 없으며 서비스라인 근처에 떨어져서 밖으로 빠져나가는 볼이면 충분하다. 이것은 기술적으로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 결정짓는 하이발리 상당히 높은 볼을 백발리에서 크로스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백에서는 강하게 치기보다도 정확한 컨트롤을 해야한다. 또 빠르고 힘있는 발리를 하기 위해서는 임팩트때 멈추는 감각이 중요하다.
하이발리, 쉽게 보이지만 어렵다초,중급자에게 하이발리는 모두 찬스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하이발리라 할지라도 찬스볼과 연결볼이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찬스볼과 연결볼을 어떻게 구별하느냐? 가슴부터 머리 약간 위까지의 뜬 볼이 찬스볼. 그 외의 볼은 모두 연결구이므로 무리해서 공격하지 않기를 바란다. 하이발리를 할때 실수하기 쉬운 몇 가지를 짚어보자. 라켓을 어깨뒤로 빼지 않는다하이발리를 할때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이 테이크백부터 임팩트까지의 스윙이다. 이때 볼을 강하게치려고 라켓 헤드를 어깨 너머로 젖혀버리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렇게 하면 임팩트를 할 떄 라켓면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라켓을 파리채 휘두르듯이 하게 되므로 볼이 네트에 걸리거나 아웃될 확률이 높다. 하이발리라 할지라도 테이크백의 크기가 자신의 어깨 뒤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정도가 좋다. 또 포워드 스윙(라켓면)이 일정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볼은 사선으로 쳐다보자하이발리가 어려운 것은 볼이 높기 때문이다. 높은 볼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실수할 확률이 많다. 따라서 공을 볼 때는 비스듬히 보고 빨리 움직여 자세를 만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플랫타법이 익숙치 않은 동호인들은 차라리 드라이브 발리를 하는 것이 위력적이어서 상대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다. 또는 코스를 정하여 칠 수 없는 볼은 무리하게 결정하려고 하지 말고 연결하는 것이 낫다. [체크포인트] 패싱이나 로브에 번번히 당하고 맙니다. 이런 경우는 민첩한 동작을 할 수 없거나 체력적인 문제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의식의 문제다. 특히 상대볼에 따라서 자신의 포지션을 잡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대는 어떤 볼을 칠 수 있을까"를 생각하고, 자신은 그 상황에 맞게 준비를 해두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중요한 것은 상대가 로브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것에 따라 전후의 포지셔닝이 결정된다. 상대가 톱스핀 로브를 공격적으로 한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수비용으로 걷어올린 로브는 처리하도록 하자. 예측은 패싱의 코스를 읽을 수 없는 것이며, 준비는 마음가짐이 나쁘기 때문에 반응이 늦어지게 된다. 예측을 하려면 상대의 타법을 집중하여 보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특히 상대가 무리해서 쳐올 때에는 비교적 코스를 읽기 쉽기 때문에 그러한 것부터 조금씩 배워나간다. 준비를 빨리 하기 위해서는 자기 발이 느리다고 미리 단념하지 말기를 바란다. 중요한 것은 스타트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전 준비가 좋아야 한다. 큰 걸음으로 두 걸음 걸으면 대부분의 볼은 따라 잡을 수 있기 떄문에 연습을 많이 해둔다. 또 먼저 상체만이 움직이면 발이 나오지 않으므로 주의하자.
"볼에 대한 반응이 늦다" "빠른 볼에 약하다"는 식의 고민을 많이 듣는다. 빠른 반응은 선천적인 반사신경 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의와 훈련에 따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응이 늦은 원인으로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먼저 설명한 눈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원근감에 문제가 있으면 볼의 스피드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응이 늦어지기 쉽고 그만큼 판단도 늦어진다. 높게 준비하는 것은 신체를 경직되게 한다. 그렇게 하면 라켓을 빨리 내밀 수 있다는 생각인데 이것은 오히려 상체에 힘이 들어가 반응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나쁜 예가 신체에 힘이 들어가 반응이 늦어지게 된다. 항상 릴랙스하여 스플릿 스텝을 취하여 반응에 빨리 대처하도록 한다. 심리적인 준비로는 "다음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머리 속에 정리 되어 있는가"가 문제이다. 상대의 습관이나 예측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반응도 빨라지는 데 막연히 어디로 올 것인가라고 생각하고 있으면 빠른 반응을 할 수 없다. 평소에 "이 상황이라면 이러한 패턴이 많다"라는 것을 학습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적으로도 자신의 약점을 없애면 준비했을 때에 정신적인 여유가 생겨 반응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정면으로 오는 볼은 대개 볼의 스피드나 템포가 빠른 경우이기 때문이다. 상대가 일부러 몸을 향해 노려서 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정면의 어깨 높이로 오는 볼이 가장 리턴하기 어렵다. 단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데도 리턴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므로 지금부터 하나씩 고쳐보도록 하자. 첫 번째 원인으로는 몸이 지나치게 옆을 향해 서있으면 불편한 자세가 되어 타점도 늦어져 실수가 생기기 쉽다.
실수하기 쉽다. 또 이 자세에서는 스윙을 거의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리턴한다고 해도 볼을 가져다 맞히는 정도의 약한 발리가 되어버린다.
스윙을 한다. 몸이 정면을 향해 있으면 테이크백에서의반응 시간이 그만큼 빨라진다. "발리는 반드시 옆을 향하여 친다."는 생각이 강한 사람은 어려운 발리가 되기 쉽기 때문에 개념을 바꿀 필요가 있다. 몸을 앞으로 향하여 스윙을 하면 자연히 아웃사이드 인의 방향으로 라켓을 휘두르기 때문에 라켓면의 방향만 조정하면 된다. 몸의 정면으로 오는 볼은 백쪽으로 리턴하는 것이 쉽다. 몸은 정면을 향하고 아웃사이드 인 스윙 몸에 가까운 볼은 몸을 정면으로 향하고 아웃사이드 인의 스윙을 하는 것이 기본이다. 발은 비스듬히 앞으로 내딛고 정면을 향하여 스윙을 하면 자연히 아웃사이드 인의스윙이 된다. 단 볼에 사이드 스핀이 걸리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나 역크로스로 칠 때에는 아웃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아웃사이드 인 스윙(outside in swing) 반대는 인 사이드 아웃스윙으로 라켓의 스윙 궤도가 안쪽에서 밖으로 이루어진다. ■ 사이드 스핀(side spin) 라켓을 옆으로부터 아랫쪽에 걸쳐 얇게 깎는 것같이 미끄러지게 회전을 건다. 바운드가 낮고 짧으며 스피드가 빠르다. ■ 역 크로스 백 쪽으로 온 볼을 포핸드로 돌아서서 상대의 백 쪽으로 치는볼을 역크로스 샷이라고 한다. 신체에 가까운 볼에 대한 백발리 정면으로 온 볼을 테이크백에서 몸을 옆으로 향하지 않고 오른발을 사선 앞으로 내딛고 밖에서 안으로 스윙한다.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2-1 산책길에 원 포인트 렛슨 (훠핸드 스토록) (0) | 2019.03.13 |
---|---|
3/21-2 스텝연습 드릴/그라운드스트록 중심으로 (0) | 2019.03.13 |
3/20-2 선수의 백핸드 발리 비밀/기본에 충실하자 (0) | 2019.03.13 |
3/20-1 선수들은 볼을 슬렁 치는 것 같은 데 볼이 묵직하다고 느껴 질까요? (0) | 2019.03.13 |
3/19-2 높은 포핸드를 처리하는 3가지 방법 (0) | 201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