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얼마나 알고 있을까? 테니스 용어

메옹 2018. 12. 19. 13:13


러브게임 : 게임스코어가 0-40에서 다음포인트로 경기를 끝냈을 때 이게임을 러브게임이라 한다.


l 서비스 에이스 : 서비스를 리시버가 건들지도 못하면 이것을 서비스 에이스라하고

       리턴했더라도 인플레이 시키지 못했을 때는 서비스 포인트라고 콜해준다.

l 포게임, 에이트 게임 : 시간이 없거나 게임을  6게임까지 하기 힘들 때 게임수를 줄여

        포(4)게임으로 할 수 있고 게임을 세트게임까지 하기힘들고 단세트게임으로

        하기에는 서운하면 에이트(8)게임으로 세트를 마무리할 수 있다.     

l 서비스 : 서비스 하는 플레이어는 볼을 두 개 다 가지고 나서 플레이를 시작하며 볼을

         서버에게 줄때는 서버에게서 먼쪽에 있는 볼을 서버에게 주고 다음에 가까이

         있는 볼을 서버에게 준다.

         한꺼번에 서버에게 볼을 주는 일은 없어야 한다.

         단식에서 서브는 센터라인쪽 베이스라인뒤에서 해야 리턴하는 볼을 받기가

         쉽고 복식에서는 사이드라인 쪽 베이스라인 바깥 쪽에서 서브를 해야 리턴하는

         볼을 받기가 쉽다.

     

l 리시브 : 리시버는 퍼스트 서브는 사이드 라인 쪽 베이스 라인 뒤쪽 한발 뒤가 적당

             하고 세컨드 서브는 사이드 라인쪽 베이스 라인 안쪽으로 들어와서 받아야

             리턴하기 쉽다.     

l 그립 : 그립은 포핸드 그립, 백핸드그립, 컨티넬탈 그립 세가지가 있는데 보통 포핸드를

       칠때만 포핸드그립을 사용하고 백핸드그립은 백핸드, 서브,발리, 스매시 모두 

       사용하며 컨티넬탈은 포핸드와 백핸드 중간을 잡는 것으로 모든 동작에서 다 

       사용할 수 있다.     

l 코트 체인지 : 코트체인지는 게임이 끝났을 때 전체 게임수가 홀수가 되었을 때 코트를

                체인지 한다.

l 네트 : 서브를 넣은 볼이 네트를 맞고 서비스 코트 안으로 들어가면 네트가 되고 서비스

      코트에 들어가지 않으면 폴트가 된다. 

      퍼스트서브가 네트가 되면 다시 퍼스트 서브를 넣고 세컨드에서 네트가 되면

      세컨드 서브를 넣게 된다.     

l 게임 포인트 : 1포인트만 얻으면 게임이 종료되는 스코어

l 세트 포인트 : 1포인트만 얻으면 세트가 종료되는 스코어

    l 매치 포인트 : 1포인트만 얻으면 게임 전체가 종료되는 스코어      

  • 갤러리 플레이(gallery play) : 관중들의 주의를 끄는 화려한 플레이.
  • 거트(gut) : 라켓을 매는 줄.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한다.
  • 게임(game) : 보통 4점이 한 게임이 되며, 듀스일 때에는 한쪽 편이 이길 때까지
  •                   시합이 계속됨. 6게임을 1세트로 하여 먼저 6게임을 얻은 쪽이 승자가
  •                   되고,  듀스는 5:5부터 시작된다.       
  • 게임듀스(game deuce) : 게임카운트가 5대5, 6대6.....등으로 됐을 때를 말한다.
  •                                 어느 한편이 2게임을 리드 할 때까지 계속한다.
  • 그래스 코트(grass court) : 잔디로 되어있는 코트, 론 코트라고도 한다.
  • 게임즈 올(games all) : 게임 듀스(game deuce). 쌍방이 5게임씩 얻었을 때의 
  •                              연장 세트.
  • 굿 샷(good shot) : 상대편의 훌륭한 플레이를 칭찬해 주는 말. 나이스 샷(nice shot),
  •                          뷰티(beauty) 라고도 함.
  • 그라운드 스매시(ground smash) : 높은 로브를 한 번 지면에 떨어뜨려서 튀게한 후                                             세게 때리는 스매시.       
  • 그라운드 스트로크(ground stroke) : 공을 한번 코트에 바운드 시키고 나서 치는 타법.
  • 그래스 텍스 코트(grass tex court) : 탄력이 있는 파이버(섬유)로 만든 코트.
  • 그랜드 슬램(grand slam) : 4관왕. 1년 동안에 전불(全佛), 전미(全美), 전영(全英), 
  •                                   전호(全濠) 선수권 대회의 싱글즈에서 전부 우승하는 것.
  •                                   그랜드슬램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존 키어렌
  •                                   (John Kieran)이 1933년 당시 호주의 테니스 선수 잭 크
  •                                   로포드(Jack Crawford)가 4대 메이저 타이틀을
  • 한해에 모두 달성하려고 하자 처음으로 붙인 용어이다.
  • 즉 ‘그랜드 슬램’이란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US오픈을 한해에 모두 석권했을 때만 얻게되는 칭호.
  • 그러나 잭 크로포드는 1933년 유일하게 US오픈에서만 우승하는데 실패하여(준우승) 아깝게 그랜드슬래머로 인정받지 못했다.
  • 이러한 의미에서 서로 다른 해에 4대 메이저 타이틀을 석권한 안드레 애거시
  • (Andre Agassi)나 프레드 페리(Fred Perry) 또한 진정한 의미의 그래드슬래머가 되지 못했던 것.
  • 현재까지 공식으로 그랜드슬램 칭호를 얻은 선수는 남자의 경우 돈 벗지(1938년 달성),
  • 로드 레이버(62, 69년 2회 달성) 두 명뿐이고 여자의 경우는 모린 코넬리(53년),
  • 마거릿 스미스 코트(70년), 슈테피 그라프(88년) 등 3명뿐이다.              
  • 그립(grip) : 라켓을 쥐는 방법, 또는 라켓의 손잡이 부분.      
  • 나일론 스트링스(nylon strings) : 나일론 거트.
  • 낫 레디(not ready) : 서비스 때에, 리시버가 아직 준비가 끝나지 않았을 경우 외치는 소리.
  • 이 상태에서 서비스를 한 경우는 노 카운트이다.
  • 낫 업(not up) : 2회 바운드 된 볼을 쳤을 때 심판이 사용하는 용어.
  • 네트(net) : 코트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망.
  • 네트 맨(net man) : 복식경기에서 네트 가까이에 있는 선수.
  • 네트 오버(net over) : 라켓이나 옷, 몸의 일부가 네트로 넘어갔을 때, 반칙으로 실점하게 됨.
  • 네트 인(net in) : 친 볼이 네트에 맞고 상대편 코트에 들어갔을 때를 말함. 세이프가
  • 되며, 서브일 때에는 다시 하게 된다.              
  • 네트 코드(net cord) : 네트를 치는 줄.
  • 네트 코드 샷(net cord shot) : 플레이 중에 공이 네트에 맞고 그것이 운 좋게 네트를 넘어 상대방 코트에 들어간 샷을 말함.             
  • 네트 코드 스트로크(net cord stroke) : 네트에 먼저 맞고 네트를 넘어가는 운이 좋은 볼.
  • 네트 터치(net touch) : 플레이 중에 라켓, 몸, 옷 등이 네트에 닿는 것으로 실점이 된다.
  • 네트 플레이(net play) : 네트 부근에서 행하는 플레이로 주로 발리, 스매시.
  • 네트 플레이어(net player) : 네트 플레이를 장기로 하는 플레이어.
  • 노비스(novice) : 초보자.
  • 노 카운트(no count) : 어떤 경기를 득점이나 실점으로 치지 않고 다시 할 때 쓰는 말.
  • 녹아웃 시스템(knock out system) : 토너먼트에서와 같이 한 번 지면 다시 싸울 
  •                                              기회를 주지 않는 게임방식.       
  • 녹 업(knock up) : 약식(略式) 연습.
  • 논 플레잉 캡틴(non playing captain) : 플레이를 하지 않는 주장.      
  • 더블 폴트(double fault) : 2개의 서브를 모두 실패했을 때. 실점이 된다.
  • 더블 히트(double hit) : 볼이 라켓에 두 번 맞는 것으로 실점이 된다.
  •                               캐리(carry)라고도 함.
  • 다아트 코트(dirt court) : 흙 또는 벽돌 흙으로 만든 코트.
  • 다운(down) : 게임, 세트를 상대방에게 리드 당하고 있는 것, 그립 엔드의 상표가 아래로 향해
  • 있는 것도 의미함.
  • 데드 존(dead zone) : 서비스 라인과 베이스 라인 사이의 지역을 말하며, 게임 중 이곳에 위치하면 매우 불리하다.             
  • 데이비스컵 토너먼트(davis cup tournament) : 데이비스컵 쟁탈전.
  •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 등 넷으로 나누어 우승자끼리 승부를 겨룸.
  • 최근에는 본선과 예선으로 나누어 본선 16개국이 최종 데이비스컵을 놓고 우승을
  • 가린다.
  • 본선 최하위 네 팀이 떨어지면 예선을 거쳐 우승한 팀이 다음 해에 본선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델리케이트 샷(delicate shot) : 미묘한 터치를 필요로 하는 스트로크. 드롭 샷, 짧은 크로스 샷, 칩, 촙 등.
  • 듀스(deuce) : 포인트가 40대 40의 경우를 듀스라고 한다. 듀스의 경우, 상대를 2포인트 리드 할 때 까지 그 게임을 계속한다. 게임이 5대 5, 6대 6...의 경우도 게임듀스이다.
  • 드라이브(drive) : 넓은 의미로는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말하며, 좁게는 톱 스핀이 걸린 샷..
  • 드라이브 발리(drive volley) : 그라운드 스트로크의 예비동작이 취해진 발리. 스트록을 하듯이 발리를 치는 방법
  • 드라이브 볼(drive ball) : 순회전이 가해진 공. 상대방 코트에 공이 빨리 떨어진다.
  • 드로우(draw) : 토너먼트 시합에서의 조 편성을 말한다. 또는 무승부가 되는 시합을 말한다.
  • 드로 플레이(draw play) : 유도하는 플레이. 고의로 틈을 주어서 상대방의 볼을
  • 유도하여 그것을 포치하는 플레이.              
  • 드론 게임(draw game) : 무효 시합, 승부없는 게임.
  • 드롭 발리(drop volley) : 드롭 샷과 유사하나 땅에 일단 튄 그라운드 스트로 우크가 아니고 발리를 한 것.             
  • 드롭샷(drop shot) : 바운드가 적은 공을 상대의 네트 바로 곁에 느슨히 떨구는 것,
  • 네트에 맞듯이 낮게 넘기거나 뒤로 되돌아오는 듯이 바운드를 하기 위해
  • 백스핀을 강하게 걸어 공을치는토크. 발리에서는이러한 샷을 드롭 발리 라고 한다.
  • 드루(through) : 네트의 코를 뚫고 공이 빠져 나가는 것.
  • 드루 업(throw up) : 서비스 때 서브를 하기 위해 볼을 공중으로 던져 올리는 동작.
  • 드리프트 플레이(drift play) : 네트맨이 페인트를 써서 포치하는 듯이 하여 상대방을 실수하게 만들거나 볼을 아웃시키는 트릭 플레이.       
  • 디폴트(default) : 경기자가 시합에 나타나지 않거나, 자기의 부주의로 인해 결장한 경우의 실격을 말한다. 기권.             
  • 디프 발리(deep volley) : 상대의 베이스라인 가까운 곳에 발리를 깊게 때리는 것.
  • 딩크 샷(dink shot) : 볼이 네트를 넘자마자 떨어지도록 스핀 없이 연하게 때리는 방법으로 네트 플레이어로 하여금 실수하도록 유도하거나 볼이 갑자기 네트 앞에 뚝 떨어지게 할 때 사용.
  • 라운드 로빈(round robin) : 리그전.
  • 라이징 볼 스트로크(rising ball stroke) : 바운드된 후 뛰어오르는 볼을 치는 스트로크. 
  • 하프 발리보다는 높은 타점이며, 바운드의 정상보다 낮은 타점임.       
  • 라인 패스(line pass) : 사이드 라인을 따라 패스하는 것.
  • 라인즈맨(rinesman) : 운영규칙에 정해진 의무를 담당, 정해진 라인에 관하여 공의 판정을 내리는 심판원.-선심.              
  • 라켓(racket) : 공을 치기 위해 쓰이는 용구.
  • 랠리(rally) : 서로 연속해서 볼을 쳐 넘기는 것.
  • 러너 업(runner up) : 단식경기의 결승에서 패한 사람. 제2인자. 파이너 피스트라고도 한다.
  • 러닝 샷(running shot) : 달리면서 공을 치는 것.
  • 러브(love) : 제로. 득점이 없을 때를 말함. 즉, 1점도 얻지 못한 채 내리 4점을 빼앗 기고 지는 일.             
  • 러브 게임(love game) : 한 포인트도 따지 못한 게임.
  • 러프(rough) : 라켓의 양면 중 거친 면. 부드러운 면은 스무스라 한다.
  • 레디 포지션(ready position) : 준비자세. 타구에 대응하는 자세의 적정한 위치를 말함.
  • 레스트링(restring) : 거트를 새것으로 갈아 끼우는것.
  • 레지스터드 플레이어(resistered player) : 인정 선수. 각국 테니스협회가 인정하면 아마추어어 선수라도 상금을 탈 수 있다.
  • 레트(let) : 무효. 서비스를 할 때 네트에 맞고 볼이 정당한 코트에 들어갔을 때, 또는 준비자세가 안 된 리시버에게 넣었을 때를 말하는데, 이 때는 다시 서브를 하게 된다.
  • 플레이를 일시 중단하기 위해 선언하는 심판용어로, 서비스의 "다시하기" "타임" 또는
  • "노 카운트"의 의미로 쓰인다.             
  • 레퍼리(referee) : 그 대회의 운영과 진행의 모든 책임을 맡고 있는 심판장.
  • 렝스(length) : 친 볼의 길이 또는 깊이 있는 볼.
  • 로 발리(low volley) : 무릎보다 낮은 위치에서 행하는 발리.
  • 로브(lob) : 볼을 높게 올리는 타구. 상대의 코트에 높이 느슨히 공을 쳐올리는 것. 
  •               로빙이라고도함.
  • 로브 빌리(lob volley) : 발리로 공을 높이 쳐올리는 것.
  • 로우 발리(low volley) : 무릎보다 낮게 온 공을 떨어지기 전에 직접 쳐서 넘기는 발리를 말함.
  • 론 코트(lawn court) : 잔디의 코트
  • 롱 세트(long set) : 연장전으로 접어든 세트의 게임. 듀스 이후를 말함
  • 루프 드라이브(loop drive) : 상대의 공이 높이 느슨하게 바운드했을 때 허리를 낮추어 볼을 지면에 낮게 떨어뜨려서 아래로부터 위로 라켓으로 문질러 올리듯이 치는 드라이브. 볼은 높이 튀나 스피드가 느리다.       
  • 리버스 트위스트 서브(reverse twist serve) : 볼에 역회전을 주기 위해 라켓면을 
  •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끌어당겨 치는 서브.
  • 리스트 밴드(wrist band) : 손목에 끼우는 신축성의 밴드를 말함.
  • 리스트 스냅(wrist snap) : 손목의 빠른 동작.
  • 리시버(receiver) : 서비스를 받는 플레이어를 말함.
  • 리치(reach) : 수비범위를 말함. 네트에 진출했을 때 손이 닿는 범위. 네트플레이 때 등, 좌우에 대한 수비범위를 [그는 리이치가 넓다]라고 말한다.              
  • 리타이어(retire) : 경련 등에 의해, 플레이 속행 불능의 경우의 기권을 말함.
  • 디폴트와 구별하고 있다. 자의로 하는 기권.
  • 리턴(return) : 상대가 때린 공을 받아 넘기는 것.      
  • 매치(match) : 사전에 정한 수의 세트의 합계. (최고 5세트)
  • 매치 포인트(match point) : 그 시합이 완전히 끝나는 마지막 한 포인트.
  • 승패의 결정을 짓는 최후의 포인트, 또는 마지막 1점을 말함.
  • 미들 포지션 플레이(middle position play) : 코트의 한복판에서 플레이를 하는 것.
  • 발리, 하프 발리, 스매싱을 무기로 삼아싸운다.              
  • 믹스드 더블스(mixed doubles) : 남녀가 한 조가 된 혼합복식.      
  • 바운드(bound) : 볼의 튀어 오름.
  • 바이(bye) : 부전승. 토너먼트 조 편성 등에 1회전의 부전승을 말함.
  • 발리(volley) : 상대가 친 공을 지면에 바운드 시키지 않고 되 보내는 것.
  • 배드 럭(bad luck) : 상대방의 아까운 에러에 대해 하는 말. 하드 럭.
  • 백 스윙(back swing) : 볼을 때리기 위해 라켓을 뒤쪽으로 가져가는 것.
  • 테이크 백이라고도 한다.
  • 백 스핀(back spin) : 공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말함. 언더 스핀.
  • 백 업(back up) : 후원하다. 파트너가 처리 못한 볼을 뒤에서 처리해 주는 것.
  • 백 코트(back court) : 서비스라인에서 베이스 라인까지의 구역을 말함. 서비스 라인 뒤의 코트.
  • 백 핸드 스트로크(back hand stroke) : 손등을 공을 쳐낼 방향으로 향해치는 타법. 
  • 주로 쓰는 팔 쪽의 반대쪽으로 공을 치는 것.
  • 오른 손잡이가 왼쪽으로 오는 볼을 치는 것.
  • 베이스 라인 게임(base line game) : 선수가 네트로 나가지 않고 자기쪽 베이스라인
  • 근처에서 플레이 하는 것.
  • 베이스 라인 플레이어(base line player) : 백 코트에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무기로 하는 플레이어.       
  • 보디 오버(body over) : 볼을 칠 때 몸의 일부가 네트를 넘거나 닿는 것을 말하며,
  • 반칙이다.
  • 브레이크(break) : 상대방의 서비스 게임을 깨뜨리는 것. 또는 제3세트 이후의
  • 10분간의 휴식.       
  •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 : 상대방의 서비스 게임을 딸 수 있는 마지막 한 포인트.
  • 블록(block) : 서비스 리턴 때 손목을 단단히 하여 거의 백스윙 없이 밀어 내듯이 치는 동작.     
  • 사이드 라인(side line) : 양 사이드에 있어 코트의 측면 한계를 표시하는 네트와 직각을 이루는 라인.              
  • 사이드 스톱(side stop) : 코트 측면의 볼을 막는 기구.
  • 사이드 스핀(side spin) : 라켓과 볼이 닿을 때, 라켓을 전방과 몸쪽으로 끌어당기면서 넣는 스핀.       
  • 사이드 패스(side pass) : 사이드 라인을 따라 빨라지는 볼. 라인 패스.
  • 샷(shot) : 타구. 스트로크.
  • 서버(server) : 서비스를 하는 플레이어.
  • 서브 앤 발리 플레이어(serve and volley player) : 강력한 서비스에 이어 네트에 나가
  • 네트 플레이로 승패를 결정 짓는 플레이어.
  • 서비스 또는 서브(servive or serve) : 플레이를 시작하기 위해 공을 쳐보내는 동작.
  • 서비스 대시(service dash) : 서브후 재빨리 네트 가까이에 전진하는 것.
  • 서비스 에이스(service ace) : 서브로 득점하는 것. 상대가 되받아 넘길 수 없는 멋진 서브를 말함.             
  • 세트(set) : 게임 다음의 위의 득점 단위.어느 한편이 6게임을 땄을 때. 득점이 된다.
  • 쌍방이 5게임씩 딴 경우에는 그후 2게임의 리드를 한 쪽에서 그 세트의 승자가 된다.
  • 세트 포인트(set point) : 그 한 포인트로서 한 세트를 딸 수 있는 포인트.
  • 세트의 승패를 결정하는 최후의 포인트
  • 세컨드 서어브(second serve) : 첫 서브가 실패한 뒤에 하는 서브를 말함.
  • 세컨드 코트 플레이어(second court player) : 복식경기에서 왼쪽 사이드로 경기를 주로 하는 선수.       
  • 센터 마크(center mark) : 베이스 라인을 2등분하여 서비스 위치의 한편 쪽 한계를 표시하는 중앙의 마크.       
  • 센터 서비스 라인(center service line) : 서비스 코트를 좌우로 나누는 중앙선.
  • 센터 스트랩(center strap) : 네트의 중앙을 3피트의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흰 띠.
  • 센터 시어리(center theory) : 볼을 상대편 코트의 가운데로 치고 앞으로 나가면 상대방이 리턴하는 볼의 대부분이 자기 리치 안에 들어온다는 이론.       
  • 스매시(smash) : 공을 머리 위에서 상대코트를 향해 강하게 내리치는 것.
  • 스무드(smooth) : 시합 개시의 앞서 서브를 취하느냐, 코트를 취하느냐의 선택권을 정할 때의 사용하는 말로, 라켓 거트의 걸친코의 겉을 말함.              
  • 스윙(swing) : 라켓을 휘두르는 동작.
  • 스탠스(stance) : 타구 때의 양 발의 위치와 간격. 타구를 취해 위하는 발의 위치.
  • 스텝 인(step in) : 공을 치기 위해 한 발을 내딛는 것.
  • 스톱 발리(stop volley) : 네트 곁에 서서, 상대의 타구를 약하게 하기 위해 라켓을 순간적으로 뒤로 당기면서 치는 발리를 말함. 네트 바로 가까이에 떨어뜨리는 발리리.
  • 드롭 발리.       
  • 스트레이트(straight) : 한 세트로 빼앗기지 않고 이기는 일, 또는, 스트레이트 볼이라고도 하며며, 사이드 라인에 평행한 타구를 말함.
  • 스트래티지(strategy) : 전략과 기질과 체력을 포함한 모든 조건을 갖춘 고도의 전술.
  • 스트레이트 볼(straight ball) : 사이드 라인을 따라 치는 볼. 크로스 볼과 상대적임.
  • 스트로크(stroke) : 라켓으로 공을 치는 모두를 말함. 볼을 치는 동작. 샷.
  • 스핀(spin) : 볼에 회전을 거는 것. 톱스핀, 백스핀, 언더스핀, 사이드스핀이 있음.
  • 슬라이스(slice) : 역회전을 준 타구.
  • 스라이스 볼(slice ball) : 얇게 자르듯이 역회전을 가한 공 (톱과 같음).
  • 슬로트(throat) : 라켓의 목을 말하는 것으로, 샤프트와 프레임이 붙어 있는 부분을 말함.
  • 시드(seed) : 대전표를 짤 때 우수한 선수는 어떤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대전하지 못하도록 특정한 위치에 넣는 제한적 추첨법.       
  • 시디드 플레이어(seeded player) : 시드 되어진 사람. 뛰어난 선수.
  • 시저드 포메이션(scissors formation) : 자기편의 네트맨이 상대편의 크로스 리시브를 포치하려고 뛰어나가고 서버는 스트레이트로 치는 볼을 지키기 위해 급히 옆, 앞으로 이동하는 전법.
  • 서버와 파트너가 서버하자마자 포지션을 교체하는 방법.
  • 시프거트(sheep gut) : 양 창자로 만든 거트를 말함. 반발력은 좋으나 습기에 약함.
  • 싱글스 스틱(singles stick) : 복식 코트에서 단식을 할 때, 보조 포스트로 사용하는
  • 길이1.07미터, 폭 7.5센티 이하의 막대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