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 심리전략 10가지
심리전략 10가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일의 연습속에서 기술의 향상과 단련된 신체를 만듦으로써 훈련을 쌓아 올려 가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래서 습득한 기술이나 힘을 경기에서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신력 또한 중요하고, 이것을 집중적으로 트레이닝 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습에 임할 때는 어떤 목표를 미리 정할 필요가 있다. 개인기술(포핸드, 백핸드, 발리, 스매시), 시합기술(단식, 복식, 공격, 수비), 연습 의욕 (평소보다 두 배 더 뛴다. 어떤 볼도 쫓아간다), 감정조절(실수도 연습의 일부로 생각한다. 파트너에게 내 감정을 감춘다)등 어떠한 것도 연습의 목표가 될 수 있다. 서브를 정확하게 넣기 위해 수백 번 서브를 하는 이유는 근육과 신경을 발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성공적인 장면을 상상하는 이미지 트레이닝으로도 서브에 필요한 근육과 신경을 어느 정도 훈련시킬 수 있다. 서브 동작을 마음으로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서브에 사용되는 동일한 근육과 신경이 동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복적인 신체 연습과 더불어 이미지 트레이닝을 병행할 때 동작에 대한 기억이 더 좋아지게 된다. 불안한 상황에서 자신의 반응을 알고 싶다면 최근의 시합을 상상해 보고, 그 당시의 불안한 느낌과 생각을 아주 자세하게 기록해 보면 된다. 불안 요인과 증상이 파악되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불안한 상황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아주 작은 것이라도 찾아서 거기에만 집중할 필요가 있다. 평소에 자신에게 큰 의미가 있는 키워드, 생각, 그리고 습관적인 동작을 개발해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파트너가 잘못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진심에서 나오는 격려이다. 자신이 잘못했을 때에는 기본에 충실하고 감정을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동작에 대해 아낌없이 칭찬해 주고 서로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솔직하게 말할 수 있다면 복식의 즐거움은 더해질 것이다.
자신을 비교의 기준으로 삼으면 기술이 향상되었거나 땀 흘려 노력해서 무엇인가를 얻을 때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것이다. 반면에 남을 비교의 기준으로 삼으면 남을 이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전자는 열심노력형이고 타인압도형보다 더 바람직하다. 즉 열심노력형은 실패했을 경우에도 체념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또한 자발적으로 연습하며 스스로 어려운 과제에 도전하기도 한다.
결정적인 순간에 집중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연습 때 의도적으로 집중력을 길러야 한다.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전략을 실험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연습할 필요가 있다. 첫째, 포인트가 결정되면 스트링을 정리한다. 둘째, 볼의 재봉선을 확인한다. 셋째, 지난 실수와 미래는 잊고 현재의 포인트에만 집중한다. 넷째, 키워드를 개발한다. (예를 들어, 라켓 백, 그립 튼튼히. 한 발 앞으로 등) 다섯째, 결정을 한 후, 중간에 마음을 바꾸지 않는다.
하는 동작을 루틴(Routine)이라고 한다. 루틴은 습관적인 동작에 불과하지만 유명 프로선수들의 성공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신만의 독특한 습관을 만들고 시합에서 이러한 루틴을 지킬 수만 있다면 시합이 주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극복하고 게임에만 집중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서브와 같이 100%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기술은 성공여부가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는 루틴을 개발하여 마치 프로그램이 수행되듯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서비스 리턴에도 자신만의 독특한 동작을 미리 만들어 두고 평소와 시합 때 철저하게 지킬 필요가 있다.
자신감, 그리고 경기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긍정적인 혼잣말은 개인이 갖고 있는 자신감의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자신감의 수준은 어떤 동작의 성공여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볼을 끝까지 보자.', '잘 할 수 있다.'라는 긍정적인 혼잣말을 자주하면 동작에 대해서 자신이 넘치고 열심히 노력하며 실제로 혼잣말이 나타내는 것처럼 볼을 끝까지 보고, 잘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지게된다.
가능성도 높아진다. 좋은 감정, 좋은 팀 분위기, 높은 응집력, 그리고 이에 따른 좋은 경기 결과가 나타나는 순환적인 과정의 첫 출발점은 팀내 대화이다. 연습히 끝난 후 5분간, 이 시간을 이용하여 그 날 훈련, 경기에서 잘 된 점, 고쳐야 할 점, 지도자에게 바라는 점, 동료나 선ㆍ후배에게 바라는 점에 대해서 솔직하게 대화를 갖는 것이 좋다. 터놓고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라면 힘든 연습도 힘들지 않게 느껴지고 소속감도 높아질 것이다.
자신감은 스스로의 믿음이지만 생각과 감정, 그리고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자신이 있는 선수는 어떤 상황에서도 질것 같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과감한 동작을 시도하여 상대의 기를 꺾기도 한다. 자신감을 갖기 위해선 평소에 자신감을 기르는 훈련을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 굿 샷이 나왔거나 서브가 좋았을 때 자신을 스스로 축하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이 쌓이면 자신감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혹, 슬럼프에 빠져 있을 때에는 가장 자신 있는 기술부터 시작해서 한 가지씩 자신감을 추가하는 연습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신감을 북돋어 주는 격언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두는 것도 자신감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