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5일 화요일 복음묵상
2019년 11월 5일 화요일
[(녹)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복음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4,15-24
그때에
16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어떤 사람이 큰 잔치를 베풀고 많은 사람을 초대하였다.
17 그리고 잔치 시간이 되자 종을 보내어 초대받은 이들에게, ‘이제 준비가 되었으니 오십시오.’ 하고 전하게 하였다.
18 그런데 그들은 모두 하나같이 양해를 구하기 시작하였다.
첫째 사람은 ‘내가 밭을 샀는데 나가서 그것을 보아야 하오.
부디 양해해 주시오.’ 하고 그에게 말하였다.
19 다른 사람은 ‘내가 겨릿소 다섯 쌍을 샀는데 그것들을 부려 보려고 가는 길이오.
부디 양해해 주시오.’ 하였다.
20 또 다른 사람은 ‘나는 방금 장가를 들었소. 그러니 갈 수가 없다오.’ 하였다.
21 종이 돌아와 주인에게 그대로 알렸다.
그러자 집주인이 노하여 종에게 일렀다.
‘어서 고을의 한길과 골목으로 나가 가난한 이들과 장애인들과 눈먼 이들과 다리저는 이들을 이리로 데려오너라.’
22 얼마 뒤에 종이 ‘주인님, 분부하신 대로 하였습니다만 아직도 자리가 남았습니다.’ 하자,
23 주인이 다시 종에게 일렀다.
‘큰길과 울타리 쪽으로 나가 어떻게 해서라도 사람들을 들어오게 하여, 내 집이 가득 차게 하여라.’
24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처음에 초대를 받았던 그 사람들 가운데에서는 아무도 내 잔치 음식을 맛보지 못할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
마음이 없으면 방법이 없다
제가 아는 김 베드로란 선교사님은 세례 받을 때부터 지금까지
주일미사를 한 번도 빠져본 적이 없다고 하십니다.
세례 때 예수님은 포도나무이시고 당신은 가지라는 말씀을 받았다고 합니다.
가지가 포도나무에서 떨어지면 어떠한 열매도 맺을 수 없으니
적어도 주일미사는 거르지 말아야한다는 결심을 하게 된 것입니다.
주일미사를 빠지지 않는 것이 그리 대단한 일인가 싶을 수도 있지만
그분은 여행사 사장님이었습니다.
외국에서 지내는 날이 더 많으신 분입니다.
성지순례를 위한 여행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매번 주일마다 빠져나와서
성당을 찾아 미사를 해야 하는 것은 이만저만한 노고가 아니었습니다.
한 번은 러시아에 가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 가톨릭교회를 찾는다는 것은 모래 속에서 바늘 찾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그런데도 그분은 차로 4시간 이상 되는 도시로 무작정 찾아갔습니다.
여행 온 분들 중에 냉담하던 한 자매도 함께 동반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 말을 하지 못하기에 무조건 묵주에 달린 십자가를 사람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게 10번 정도 묻고 나니 가톨릭교회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냉담하던 자매를 말도 안 통하는데 무작정 고해성사를 보게 하였습니다.
불가능은 없었습니다.
그 자매는 여행 내내 눈물을 흘리며 큰 회개의 은총을 얻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분은 여행한다고, 바쁘다고 주일미사에 빠지는 것은 그저 핑계에 불과하다고 말합니다.
또 선교할 기회가 없어서 하지 못한다는 것도 이해하지 못하십니다.
그분은 술도 안 드시지만 술자리가 있으면 술집 사장님도 불러서 성당 다니라고 권면을 합니다.
그렇게 실제로 술집 사장님이 세례를 받고 술장사를 접은 일도 있었습니다.
이런 분들 앞에서 핑계는 통하지 않습니다.
마음만 있다면 다 할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보여주시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인터넷이 잘 되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가까운 성당과 미사시간을 찾아
주님을 모실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고해성사 때 주일미사를 빠졌다는 고해를 너무 자주 듣습니다.
미사는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는 혼인잔치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처음에 초대받은 사람들은 하느님 나라의 혼인잔치 식탁에
앉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처음에 초대받았던 사람들은 유태인들입니다.
그들은 이런저런 핑계로 주님의 혼인잔치에 참여하기를 거부하였습니다.
“첫째 사람은 ‘내가 밭을 샀는데 나가서 그것을 보아야 하오. 부디 양해해 주시오.’
하고 그에게 말하였다.
다른 사람은 ‘내가 겨릿소 다섯 쌍을 샀는데 그것들을 부려 보려고 가는 길이오.
부디 양해해 주시오.’ 하였다.
또 다른 사람은 ‘나는 방금 장가를 들었소. 그러니 갈 수가 없다오.’ 하였다.
종이 돌아와 주인에게 그대로 알렸다.”
하느님은 아드님의 혼인잔치를 성대하게 치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서라도 사람들을 들어오게 하여, 내 집이 가득 차게 하여라.”고
종들에게 명령합니다.
미사를 가장 소중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면 믿음이 없는 것입니다.
결혼했는데 집에 들어오는 것을 두 번째로 여기고 여기저기서 자고 다닌다면
집에서 기다리는 배우자의 마음이 어떨까요?
이 세상에서의 혼인잔치에도 참여할 마음이 없다면
저 세상의 혼인잔치에도 참여할 마음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느님은 그 자리를 다른 사람들로 채울 것입니다.
미사의 중요성에 대한 마음을 가집시다.
마음이 없다면 방법이 없습니다.
이 말은 마음만 있다면 주님께서 어떤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미사에 참여할 방법을 마련해주신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핑계는 있을 수 없습니다.
마음이 있고 없고의 차이일 뿐입니다.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어떤 의사가 쓴 글이다.
요양병원에 갔을 때의 일들을 생각해 보니 어쩌면
이 의사의 말이 그렇게 딱 들어맞는지 놀라울 정도이다.
그래서 專門家라고 하는 것 같다.
◆ 요양병원에 面會 와서 서 있는 家族 위치를 보면 촌수가 딱 나온다.
◆ 침대 옆에 바싹 붙어 눈물 콧물 흘리면서 이것저것 챙기는 여자는 딸이다.
◆ 그 옆에 뻘쭘하게 서있는 남자는 사위다.
◆ 문간쯤에 서서 먼 산 보고 있는 사내는 아들이다.
◆ 복도에서 휴대폰 만지작거리고 있는 여자는 며느리다.
◆ 療養病院에 장기입원하고 있는 부모를 그래도 이따금씩 찾아가서 살뜰히 보살피며
준비해 온 밥이며 반찬이며 죽이라도 떠먹이는 子息은 딸이다.
대개 아들놈들은 침대 모서리에 잠시 걸터앉아 딸이 사다놓은 飮料水 하나 까먹고 이내 사라진다.
아들이 무슨 신주단지라도 되듯이 아들 아들 원하며 金枝玉葉(금지옥엽) 키워 놓은 罰을 늙어서 받는 것이다.
◆ 딸 하나 열 아들 부럽지 않는 세상인 것을 그때는 몰랐다.
◆ 그래도 어쩌랴! 내 精神 가지고 사는 동안에라도 맛있는 것 먹고, 가고 싶은 곳 가보고,
보고 싶은 것 보고,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즐겁고 재미있게 살아야지!
◆ 기적 같은 세상을 헛되이 보낼 수는 없지 않겠는가...?
**********************************************
마지막 인사
몇년전 일이다.
나와 같은 病室에
80세가 넘으신 할어버지가 있었다.
할아버지의 병은 깊었다.
할머니는 聖經을 읽으며
지극정성으로 할아버니 곁을 지켰다.
아침저녁으로 할어버지 가족들이
병실을 다녀 갔다.
"니 아버지 이번엔 못 일어 나신다.
이젠 화장실 걸음도 못하신다.
조금 전에도 의사가
호스로 오줌 빼 주고 갔다."
할머니는 눈물을 글썽이며
아들에게 말했다.
아들은
아무 말이 없었다.
그날 저녁,
할어버지 막내딸이
병실로 찾아 왔다.
지방에서 올라 온 막내딸은
할아버지 손을 잡고 한참을 울었다.
할어버지는 말이 없었다.
막내딸은
3일 동안 할머니와 함께
병실에서 잠을 잤다.
"아빠, 나 이제 가봐야 하거든
아빠하고 같이 있고 싶은데
그럴 수가 없어
김서방 出勤도 시켜야 하고,
아이들 학교도 보내야 해."
그 녀는 울먹이며
늙으신 아버지 가슴에 얼굴을 묻었다.
"아빠, 옛날 일 記憶나?
아빠하고 나하고,
매일 들길을 걸어서
학교 갔었잖아,
여름 장마 때면 아이들은
잔뜩 불은 개울물 앞에서
늘 아빠를 기다렸어.
감자처럼 작은 아이들을
한 명씩 한 명씩 가슴에 안아
개울물을 건네 주었지..
아빠는
사랑이 많은 선생님이었으니까,
아빠가 학교에서
宿職하던 날 기억나지?
엄마가 싸준 도시락을 들고
내가 눈밭을 걸어서
아빠에게 갔던 날,
내 발바닥 꽁꽁 얼었다고
아빠가 따뜻한 배 안으로
내 발을 집어 넣었잖아,
얼마나 차가 왔을까."
막내딸은 울움을 삼키며
할아버지 가슴에 다시 얼굴을 묻었다.
딸의 울음소리에도
할어버지는 말이 없었다.
"아빠. 나 이제 가야 돼.
꼭 다시 일어나야돼. 아빠.. 꼭.."
옆자리에 서 있던 할머니가
막내 딸의 손을 끌었다.
"어여 가거라, 어여.
네 아버지 다 알아들으셨을게다."
할머니는 막내딸을 데리고
병실 밖으로 나갔다.
잠시 후.
할머니는 눈물을 닦으며
병실 안으로 들어 왔다.
"조금 전에 나간 아이가
우리 막내 딸이라우.
아버지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랐지요.
응석받이로 자라
지금도 아빠 아빠 하잖아요.
이제,
지 아버지 눈이나 감으면 와야지 뭐...
아버지를
끔찍이 좋아했는 데,
아버지 얼굴을
마지막 본다고 생각하니
얼마나 슬펐을까..."
바로 그때,
할아버지 목소리가 들려왔다.
"임자.. 임자.. "
할아버지는 가뿐 숨을 몰아쉬며
일으켜 달라고 했다.
할머니와 나의 부축을 받으며
할아버지는 한 걸음 한 걸음
창가 쪽으로 걸어 갔다.
할아버지는
힘겨운 숨을 고르며
창 밖을 살폈다.
창 문밖,
멀지 않는 곳에
정문 쪽으로 걸어 가는
막내딸의 뒷모습이 보였다.
할아버지는 오른팔을 들었다.
딸의 뒷모습을 어루만지 듯
할아버지는
유리창을 쓰다 듬었다.
딸을 향해..
마지막 인사를 하는
할아버지의 눈가로
눈물이 가만 가만.. 흘러 내렀다
- 모셔온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