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복음과 묵상

10/16 복음과 묵상

메옹 2019. 7. 16. 00:38

2019년 10월 16일 수요일

[(녹) 연중 제28주간 수요일]



복음

<불행하여라, 너희 바리사이들아! 너희 율법 교사들도 불행하여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1,42-46

그때에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42 “불행하여라, 너희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박하와 운향과 모든 채소는 십일조를 내면서, 의로움과 하느님 사랑은 아랑곳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십일조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지만, 바로 이러한 것들을 실천해야 한다.

43 불행하여라, 너희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회당에서는 윗자리를 좋아하고 장터에서는 인사받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44 너희는 불행하여라!
너희가 드러나지 않는 무덤과 같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그 위를 밟고 다니면서도 무덤인 줄을 알지 못한다.”

45 율법 교사 가운데 어떤 사람이 예수님께, “스승님, 그렇게 말씀하시면  저희까지 모욕하시는 것입니다.” 하고 말하였다.

46 그러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너희 율법 교사들도 불행하여라!
너희가 힘겨운 짐을 사람들에게 지워 놓고, 너희 자신들은 그 짐에 손가락 하나 대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오늘의 묵상




​자기 영광을 추구하면 누구나 불효자다


노아가 농사를 시작하여 포도나무를 심었습니다.

노아는 포도주를 만들어 마시고는 더워서 벌거벗은 채로 잠을 잤습니다.


장막 안으로 들어온 함이 아버지의 알몸을 보고는 밖에 있던 두 형제,

셈과 야펫에게 알렸습니다.

셈과 야펫은 함과는 다르게 아버지의 알몸을 보지 않기 위해 뒷걸음으로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겉옷으로 아버지의 몸을 덮어드렸습니다.


노아가 잠에서 깨어 이 사실을 알고 함은 저주하고 셈과 야펫은 축복해 주었습니다.

왜 함은 저주를 받은 것일까요?


아버지 앞에서 당당할 수 있다면 그것 자체가 불효입니다.

아버지가 벌거벗고 자는 것은 물론 창피한 일입니다.

그러나 아버지 앞에서 자녀는 수도 없이 그런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것을 잊었으니 의롭지 못한 사람입니다.

의로움은 자신이 받을 것을 알고 합당한 반응을 하는 것입니다.

100억을 빚져 갚을 능력이 없다면 적어도 빚을 지지 않은 척은 하지 말아야합니다.

채권자 앞에서 채무자가 빚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 자체가 의롭지 못한 것입니다.

부모 앞에서 자기 힘으로 컸다고 말한다면 부모가 장하다고 칭찬해 주실까요?

자녀는 부모의 도움 없이는 태어날 수도 없고 성장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게 약하디 약한 존재로 태어나고 성장하지만 그 받은 사랑은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혼자 컸다고 말하면 그것이 의롭지 못한 것입니다.


의롭지 못한 사람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자기의 영광을 추구합니다.

빚을 진 것을 알면 채무자의 자세를 취하겠지만 채권자의 행세를 하는 것입니다.

채권자는 무언가 요구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사람은 부모 앞에서도 채권자의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신을 위해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자신들은 아파트에 살면서도 부모님은 시골집에 살아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부모에게 받은 은혜를 아는 의로운 사람이라면 자신보다는 부모의 영광을 추구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십계명에 부모를 공경하란 대목이 있는 것입니다.

부모를 공경할 줄 모르는 사람이라면 하느님도 공경할 수 없습니다.

바리사이 율법학자들은 하느님 앞에서도 자신들의 영광을 추구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불행하여라, 너희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회당에서는 윗자리를 좋아하고

장터에서는 인사받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하느님 앞에서 누구도 자신의 영광을 추구할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을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바리사이 율법학자들이 십일조는 잘 내면서

의로움과 하느님 사랑에는 무관심하다고 꾸짖으십니다.

자신의 영광을 추구하는 사람은 의롭지도 못하고 하느님도 사랑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미국의 보스톤 해변가에서 한 노인이 매일 새우를 갈매기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사람들은 사람 먹을 것도 없는데 비싼 새우를 갈매기들에게 준다고 그 노인을 나무랐습니다.

그런데 그 노인은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 해군 장군이었습니다.

독일군의 어뢰로 배가 격침되어 그와 그의 부하 일부만이 구명정에 간신히 올라탔습니다.

뜨거운 태양과 폭풍과 식량부족으로 바다 위에서 죽음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갈매기 한 마리가 구명정에 앉아 움직이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떨리는 힘없는 손으로 갈매기를 잡았습니다.

갈매기는 희한하게 저항하지 않았습니다.

장군이 그때 갈매기를 먹지 않았다면 탈진하여 구조되기까지 버틸 수 없었을 것입니다.

사람은 갈매기 한 마리가 없어도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우리에게 생명과 먹을 것과 입을 것과 잘 것과 친구들을 마련해주셨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아버지라고 아드님의 살과 피를 양식으로 주셨습니다.

이것이 없으면 우리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그분은 항상 나와 함께 계십니다.

그분이 나와 함께 계신대도 채권자의 자세로 산다면 그것이 의롭지 않고

하느님을 사랑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나의 영광을 추구한다면 그것이 그분 앞에서 불효자가 되는 길입니다.

항상 주님의 기도에서 내 영광이 아니라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를

잊지 말고 살아갑시다.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그 대여,지금 힘이 드시나요?



그 대여
지금 힘이 드시나요




창문을 열고
하늘을 올려다 보세요

저렇게 높고
파아란 하늘색도

조금 있으면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우리의 마음이

저 하늘색만큼
맨날 변하는 거지요

변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영원히 낮과 밤을
경험하며 살 수 없잖습니까?

우리에게 주어진 몫은
어떻게 든 치르고 지나는 것



우리가
겪어야 하는 과정이니

누구도
대신해 주지 않는다는 것

그대와 나,
우리는 잘 알고 살아갑니다



지금 이 고달픔이
내 것이려니

누구도 대신해 주지 않는
내 몫이려니

한 걸음
한 걸음 걷다보면

환한 길도
나오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



그 대여,
지금 힘이 드시나요?

지금 창문을 열고
바람을 쐬여 보세요

맑은 공기로
심호흡 해 보세요



자연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고

그저
주기만 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 대가
지금 힘든 것은

더 좋은 것이
그 대를 기다리고 있기에

그 대의 인생길에서
딛고 건너야 할

과정일 것입니다



그 대와 나
그리고 우리는

더블어 살아가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인생은
살아볼 가치가 있는

세월을
이겨 볼 가치가 있는

아름다운 곳이

그대와 내가
살았던 세상이라고

함께 웃으며
추억할 날이 오리라 믿습니다.



그 대여
용기를 가지세요

땀방울 맺힌 이마
씻어줄 시원한 바람

두 팔로 안아 보세요

공짜인 공기
가슴 크게 벌리고 흡입하세요

그 모두가
바로 당신의 것입니다.



- 행복을 느끼면서 살 수 있는 법 中에서 -

그림 : 앨마 태디마 (Alma-Tadema, Sir Lawrence)



우리 님들~
우리가 살아가는 한 세상

서로가 서로에게
얼마나 所重한 存在로

살아가고 있는지요.

他人에게 있어
所重한 사람이 되려면

먼저 他人을
所重히 생각하고 配慮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아무리
혼탁한 세상이더라도

사랑을
베풀 줄 아는 마음

따뜻한 이들이 있기에

아직은
살아 볼만한

세상인 듯 합니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한잔)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