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가 낫기 전 상처 주변 부위가 가렵곤 하다. 왜 그런 걸까?
피부에 상처가 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처 난 자리에 피가 굳으면서 딱지가 앉는다.
딱지 밑에서는 상처 입은 혈관 대신 새 혈관이 생기고, 망가진 피부 세포들이 새롭게
만들어진다.
딱지는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외부 병균이 안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새살이 자라나면서 통각을 느끼는 신경종말에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가려움증이
유발된다.
또 상처가 치유되면서 히스타민과 같은 물질들이 분비되는데, 그러한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며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가려움증을 느낀다고 해서 상처 부위를 무리하게 긁어선 안 된다.
딱지가 생겼다 하더라도 완전히 다 나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세균 침입으로 인한 감염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긁
으면서 딱지가 떨어지면 치료 속도가 더뎌지고,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너무 가려울 땐 주변부를 흐르는 찬물로 씻거나 상처 치료 연고를 발라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도움 된다.